검찰 “인수자 명단 조사”…정권실세 차명보유 가능성도 추적
오덕균(46) 씨앤케이(CNK) 대표가 헐값에 매각한 씨앤케이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의 향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검찰은 오 대표가 ‘주식 로비’를 통해 정권 실세의 도움을 받은 것은 아닌지 수사할 계획이다.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신주 매입권이 부여된 회사채다. 오 대표는 2009년 11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신주인수권부사채 200만주를 발행했다. 오 대표는 “‘농지개량’이란 회사 인수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려고 그 당시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했다”고 밝혔다. 실력자 로비용이 아니라 회사 인수자금을 마련하려는 경영 행위라는 주장이다. 오 대표는 지난해 9월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주당 1260~9990원에 매각했다”며 신주인수권부사채를 인수한 14명의 실명을 공개했다. 오 대표는 “대부분 회사 직원이나 지인들이고, 공직자는 없으며 박영준 전 차관과 관계되는 사람도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오 대표는 이 명단에서 지난해 회사 고문으로 영입한 조중표(60) 전 국무총리실장의 이름을 빠뜨렸다. 조 전 실장은 2009년 10월 신주인수권부사채 26만여주를 배정받은 뒤 이를 주식으로 전환해 시세차익 10억원을 챙겼다. 지상파 방송의 ㄱ이사는 2009년 2월 씨앤케이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주당 635원씩 200만주(12억7천만원)를 사들이기도 했다. 씨앤케이 주식으로 ‘대박’을 터뜨린 ‘실력자’가 더 있을 개연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정태근 의원은 “권력 실세와 관련된 2명 이상이 씨앤케이의 신주인수권을 오덕균 대표한테서 취득가 이하로 제공받았다는 정보가 있다”며 정권 실세 연루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검찰은 씨앤케이의 신주인수권부사채를 헐값에 제공받은 인수자들의 명단을 확보해 신원 파악에 나섰다. ‘정권실세’의 차명보유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있는 셈이다. 검찰 관계자는 27일 “정부 부처가 나서서 씨앤케이를 도와준 건 주식으로 이득을 볼 수 있다는 동기에서 그랬을 가능성이 있다”며 “주식거래가 수사의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