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육·해·공군의 잇단 사고에 이어 또다시 군 해안 경계초소에서 총기와 실탄이 탈취당하는 사건이 일어나자, 군이 곤혹스런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21일 군 관계자들은 이번 사건으로 군이 국민들에게 ‘불안한 집단’으로 비쳐질 수 있다며 침통해했다. 비무장지대 경계초소(지피)의 총기 난사사건, 북한군 병사 철책 월경 사건, 해군 고속단정 실종 사건, 해군의 취사장 제초제 사건, 공군 전투기 2대 추락사건 등 최근 두 달 사이에 벌어진 각종 사건·사고들이 다시 부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 사건이 명쾌하게 규명되거나 단호한 징계로 매듭지어지지 못한 점이 더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이상희 합참의장을 비롯한 군 고위관계자들이 이번 사건 직후 급히 나와 상황을 점검하면서도 극도로 말을 아끼며 민감한 반응을 보인 것도 이런 사정 때문이다.
실제로 국방장관 해임건의안을 놓고 표대결까지 벌였던 국회에서는 벌써부터 윤 장관을 해임해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 맹형규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당 회의에서 “근무중인 병사가 총기와 실탄을 뺏기는 어이없는 사건이 일어났다”며 “군의 기강해이와 전력약화가 심히 걱정된다”고 말했다. 맹 의장은 “윤 장관의 해임안은 이런 사태를 우려해 군의 분위기를 일신하려 했던 것”이라며 질타하고 나섰다.
황진하 한나라당 제2정조위원장도 “이번 사건은 (군의) 경계심 이완이 노출된 것”이라고 군 기강 해이를 질타한 뒤, “동해, 서해, 철책선에서 육·해·공군이 돌아가면서 사고가 나고 있는데, 철저히 조사해서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일부 누리꾼들은 “소총과 탄창을 따로 소지하고 있으며,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지 않은 지역에서 갑작스러운 공격을 당하면 어떻게 감당할 수 있겠냐”는 동정론을 펴기도 했다. 군 관계자들도 “사건 발생지역은 인근에 해수욕장이 있어 민간인들이 자주 다니는 지역으로 갑자기 흉기를 꺼낼 때 순간 대응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군의 한 관계자는 “이번 사건은 총기 피탈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추가 범행의 폭발성을 안고 있는 것이 문제”라며 “사건을 최소화하려면 범인들의 조기 검거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김성걸 기자 skkim@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