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부터 관선이사 체제로 운영돼온 광운대학교가 최근 대선자금 제공 등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이중근 ㈜부영 회장을 학교의 새 주인으로 영입하기로 결정해 논란이 일고 있다.
광운대 이사회(이사장 강문규)는 지난 5월 이사회를 열어 법인 정상화 방안을 의결하고 △700억원 이상 출연 △5개년 발전계획 제시 △설립자의 연고자에 3분의 1 범위 안 이사추천권 부여 등을 조건으로 법인 신청을 받았다. 지난달 15일 마감된 법인 신청에는 이중근 회장이 개인 자격으로 단독 신청했다. 이 회장은 이사회에 낸 발전계획서에서 학교 발전 비용 700억원 출연과 함께 △주택건축대학 설립 △수도권에 30만평 규모 캠퍼스 마련 △도심빌딩 캠퍼스 이용 추진 등을 주요 발전계획으로 제시했다.
논란은 이 회장의 ‘전력’을 두고 일어났다. 이 회장은 2002년 대선 때 정대철 전 의원에게 6억원을 건넨 사실이 대선자금 수사 과정에서 밝혀졌으며, 회삿돈 270억원을 빼돌려 비자금을 만들고 74억원의 세금을 떼먹은 혐의(조세포탈 등)로 구속 기소돼 항소심에서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았다.
전 재단 쪽 관계자들은 이 회장의 전력을 들어 이사회와 일부 교수 등에게 이 회장 영입을 반대하는 서한을 보내는 등 반대 운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반면 현 대학 지도부는 학교 발전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며 반박 서한을 보내는 등 공방이 커져가고 있다.
한편, 학생과 교수, 노조 등 학내 구성원들은 이 회장의 ‘입성’에 고심하면서도 전 재단의 복귀에는 강한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 전 재단은 1993년 70여명을 부정입학시킨 사실이 드러나 설립자의 둘째아들인 조무성 당시 총장이 불명예 퇴진을 했으며, 99년에는 설립자의 장손인 조석진 학교·법인 기획실장이 수십억원의 공금을 횡령해 도피하는 등 사학 비리의 전형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지난 20일 총회를 연 교수협의회는 “재단 정상화는 이사회의 고유 권한이기 때문에 큰 틀에서는 이사회의 뜻을 따르기로 했다”면서도 “이사회는 학내 의견수렴 과정을 더 거치고 이 회장은 학교 발전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