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의 한홍구 위원(오른쪽)이 22일 오후 서울 내곡동 국정원에서 열린 ‘부일장학회 헌납 및 경향신문 매각에 따른 의혹’ 조사결과를 발표하면서 땀을 닦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중정이 3개월전부터 ‘공작’
기부승낙서 서명도 7건 위조
기부승낙서 서명도 7건 위조
국정원 발표로 본 사건 재구성
국가정보원 과거사진실위원회가 22일 발표한 ‘부일장학회 헌납 사건’의 결론은 한마디로, 박정희 군사정부가 중앙정보부 등을 활용해 고 김지태씨를 구속수감한 상태에서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 <한국문화방송>과 부일장학회를 강압적으로 헌납받았다는 것이다. 그동안 김씨 유족들의 ‘강제 헌납’ 주장과 정수장학회 쪽의 ‘자발적 기부’ 주장 가운데, 유족들의 손을 들어준 것이다.
측근·부인 구속 뒤 김지태씨 귀국 압박
7년구형 받은 다음날 재산포기각서 제출
박정희 당시 의장 ‘5·16 장학회 설립지시 ‘강제 헌납’은 어떻게 이뤄졌나=박정희 정권이 부일장학회와 언론 3개사에 대한 기부승낙서를 받은 것은 1962년 6월20일이지만, 진실위는 그 전부터 이뤄진 중앙정보부의 ‘사전 포석’에 주목했다. 중정 부산지부는 62년 3월27일 일본 체류중인 김지태씨의 귀국을 압박하기 위해 <부산일보> 임직원 10명을 외국환관리법 위반 혐의로 구속한 데 이어, 4월초에는 김씨의 부인 송혜영(72)씨를 밀수 혐의로 구속했다. 김씨도 귀국한 직후인 4월24일 부정축재처리법 등 9개 혐의로구속됐다.
김씨는 그해 5월24일 7년 구형을 받았는데, 그 이튿날 최고회의 법률고문인 신직수에게 재산 포기각서를 제출했다고 진실위는 밝혔다. 5·16장학회로의 ‘재산 헌납’ 절차는 6월20일 고원증 전 법무부장관이 구속중인 김씨로부터 재산 기부승낙서에 서명·날인을 받음으로써 마무리됐고, 김씨는 이틀 뒤 공소 취소로 풀려났다. 진실위는 특히 기부승낙서 7건의 서명이 위조됐고, 한자로 쓴 서명 날짜 또한 가필 변조된 것을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진실위는 이들이 모두 ‘강제 헌납’의 정황이라고 보고 있다.
박정희 당시 최고회의 의장은 어디까지 개입했나=진실위는 박 의장의 개입 정황과 관련해, 그동안 언론과 저술 등을 통해 알려진 것 외에 증거를 추가로 확보하진 못했다. 그러나 진실위는 박 의장이 ‘기부받은 재산이 자꾸 유실된다’는 보고를 받고 고원증 전 법무부장관에게 5·16장학회 설립을 지시하고, 장학회 설립 뒤에도 이사진을 직접 선임하는 등 장학회 운영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사실을 고원증 전 법무부장관 등의 면담조사를 통해 재확인했다. 김종한 전 문화방송 사장도 “문화방송을 넘겨주자고 한 건 (박 의장의 대구사범 동기이자 부산일보 주필인) 황용주의 장난”이라며 “주연은 박 대통령이고, 조연은 황용주와 국제신보 사장 둘이 맡았다”고 주장했다. 진실위는 “이 사건은 당시 최고 권력자였던 박 의장의 언론장악 의도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자유민주주의 기본질서의 핵심인 언론 자유와 사유 재산권이 최고 권력자의 자의와 중정에 의해 중대하게 침해당한 사건”이라고 규정했다.
7년구형 받은 다음날 재산포기각서 제출
박정희 당시 의장 ‘5·16 장학회 설립지시 ‘강제 헌납’은 어떻게 이뤄졌나=박정희 정권이 부일장학회와 언론 3개사에 대한 기부승낙서를 받은 것은 1962년 6월20일이지만, 진실위는 그 전부터 이뤄진 중앙정보부의 ‘사전 포석’에 주목했다. 중정 부산지부는 62년 3월27일 일본 체류중인 김지태씨의 귀국을 압박하기 위해 <부산일보> 임직원 10명을 외국환관리법 위반 혐의로 구속한 데 이어, 4월초에는 김씨의 부인 송혜영(72)씨를 밀수 혐의로 구속했다. 김씨도 귀국한 직후인 4월24일 부정축재처리법 등 9개 혐의로구속됐다.
김씨는 그해 5월24일 7년 구형을 받았는데, 그 이튿날 최고회의 법률고문인 신직수에게 재산 포기각서를 제출했다고 진실위는 밝혔다. 5·16장학회로의 ‘재산 헌납’ 절차는 6월20일 고원증 전 법무부장관이 구속중인 김씨로부터 재산 기부승낙서에 서명·날인을 받음으로써 마무리됐고, 김씨는 이틀 뒤 공소 취소로 풀려났다. 진실위는 특히 기부승낙서 7건의 서명이 위조됐고, 한자로 쓴 서명 날짜 또한 가필 변조된 것을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진실위는 이들이 모두 ‘강제 헌납’의 정황이라고 보고 있다.
박정희 당시 최고회의 의장은 어디까지 개입했나=진실위는 박 의장의 개입 정황과 관련해, 그동안 언론과 저술 등을 통해 알려진 것 외에 증거를 추가로 확보하진 못했다. 그러나 진실위는 박 의장이 ‘기부받은 재산이 자꾸 유실된다’는 보고를 받고 고원증 전 법무부장관에게 5·16장학회 설립을 지시하고, 장학회 설립 뒤에도 이사진을 직접 선임하는 등 장학회 운영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사실을 고원증 전 법무부장관 등의 면담조사를 통해 재확인했다. 김종한 전 문화방송 사장도 “문화방송을 넘겨주자고 한 건 (박 의장의 대구사범 동기이자 부산일보 주필인) 황용주의 장난”이라며 “주연은 박 대통령이고, 조연은 황용주와 국제신보 사장 둘이 맡았다”고 주장했다. 진실위는 “이 사건은 당시 최고 권력자였던 박 의장의 언론장악 의도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자유민주주의 기본질서의 핵심인 언론 자유와 사유 재산권이 최고 권력자의 자의와 중정에 의해 중대하게 침해당한 사건”이라고 규정했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