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93명이 부재자투표 신청
지방선거때보다 18% 늘어
다른 대학들은 되레 감소
선관위 “예외규정 적극 활용”
지방선거때보다 18% 늘어
다른 대학들은 되레 감소
선관위 “예외규정 적극 활용”
‘반값 등록금’을 실현한 서울시립대에서 학생들의 4·11 총선 부재자투표 신청 열기가 뜨겁다.
시립대 총학생회는 “지난 19일부터 23일까지 진행한 부재자투표 신청에 2593명이 몰렸다”며 “동대문구 선거관리위원회와 학교 안에 부재자투표소를 설치하기로 협의했다”고 28일 밝혔다.
시립대 재학생 8300여명 중 만 19살이 넘어 투표권이 있는 학생은 6500여명이다. 유권자의 약 40%가 부재자투표 신청을 한 셈이다. 2214명의 학생이 부재자투표를 신청했던 2010년 지방선거 때에 견줘 신청자가 18%나 늘었다.
특히 눈길을 끄는 건 다른 대학들의 경우 2010년 지방선거 때보다 부재자투표 신청 열기가 저조한데, 유독 시립대에선 부재자투표 신청에 학생들이 몰리고 있다는 점이다. 경희대는 2010년 지방선거 때 2000여명이 부재자투표 신청을 했으나 올해는 1400여명에 그쳤다. 고려대도 부재자투표 신청자가 2010년 2800여명에서 올해 2100여명으로 줄었다. 한국대학생연합 관계자는 “현재 고려대·부산대 등 전국 27개 대학에서 부재자투표소를 설치하려고 하고 있다”며 “이는 2010년 30여개보다 다소 줄어든 수치”라고 밝혔다.
시립대 학생들은 부재자투표 신청이 크게 늘어난 원인을 ‘반값 등록금’에서 찾고 있다. 지난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박원순 후보가 당선된 뒤, 시립대에서 반값 등록금이 현실화되는 과정을 지켜본 학생들이 ‘정치에 참여하면 삶이 바뀔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는 것이다.
김경원 시립대 총학생회장은 “반값 등록금으로 투표를 통한 직접적인 생활의 변화를 느낀 학생들이 부재자투표 신청을 많이 했다”고 전했다. 부재자투표 신청을 한 이 학교 학생 박선민(21·컴퓨터과학부)씨는 “불가능해 보였던 반값 등록금이 서울시장 선거 이후 현실이 됐다”며 “투표로 우리에게 필요한 정책을 실현시킬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부재자투표 신청을 했다”고 말했다. 신율 명지대 교수(정치외교학)는 “민주화투쟁 세대는 자신이 세상을 바꿨다는 자신감이 있는데 요즘 학생들은 그런 승리의 경험이 적었다”며 “반값 등록금을 계기로 시립대 학생들이 자신감을 가진 것으로 보이며 이는 더 큰 변화를 이끌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공직선거관리규칙상 부재자투표소 설치는 해당 지역에 2000명 이상의 부재자투표 신청자가 있을 경우에 가능하다. 이 때문에 2010년 지방선거 때는 많은 대학들이 투표소 설치가 무산됐다. 하지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번 총선의 경우 투표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예외 규정을 활용해 2000명이라는 숫자에 얽매이지 않고 최대한 부재자투표소를 설치할 방침이다.
정환봉 박현정 기자 bon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