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비 3년간 내역 넘겨받아…공대학장단 자신 사퇴
대학 연구비 횡령 비리를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 유재만)는 교수 2명을 구속한 데 이어 22일 서울대 연구처 등으로부터 공대 소속 교수 8명의 최근 3년 동안 연구비 수혜내역과 집행내역 자료를 넘겨받아 내사를 벌이고 있다.
검찰은 또 창업보육센터의 연구비 운영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서울대 쪽에 자료 제출을 요청했으며, 대학 안에 설립된 벤처기업 관련 교수 명단도 받아간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이 대학 연구비 비리 수사를 확대하는 것은 연구비 횡령이 일부 교수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대학에서 관행적으로 이뤄져 왔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검찰이 이번에 연구비 관련 자료를 요구한 교수들은 전기컴퓨터공학부 3명, 재료공학부 2명, 산업공학과 1명, 지구환경공학부 1명, 화학생물공학부 1명 등 모두 8명이다. 검찰은 이들 가운데 일부가 학내에 설립한 벤처기업을 이용해 연구비를 빼돌린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일부 교수가 학내 벤처기업을 통해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받는 방법 등으로 대학 당국으로부터 연구비를 타낸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대 공대 학장단은 25일 공대 교수 2명이 연구비 횡령 혐의로 잇따라 검찰에 구속된 사태와 관련해 책임을 지고 자진사퇴했다. 한민구 공대 학장은 이날 “공대 교수들의 구속 사태에 대해 학장으로서 책임을 통감하고 학장을 포함한 공대 보직교수 전원이 사퇴하기로 했다”며 “앞으로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자성의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서울대는 현재 진행 중인 외부 회계법인의 서울대 연구비 관련 업무진단이 끝나는 대로 전체 교수들을 상대로 윤리강령 제정을 추진 중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