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경락(45)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지원관실) 기획총괄과장
지명수배 하룻만에 체포
입막음 등 빠짐없이 등장
검, 조만간 영장여부 결정
특별수사팀 9명으로 늘려
입막음 등 빠짐없이 등장
검, 조만간 영장여부 결정
특별수사팀 9명으로 늘려
민간인 불법사찰과 증거인멸 사건을 재수사 중인 검찰이 이 사건의 핵심 인물인 진경락(45·사진)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지원관실) 기획총괄과장을 13일 체포해 조사중이다.
검찰은 이날 이날 오후 2시40분께 검찰청에 출석한 진 전 과장을 체포했다. 앞서 체포영장을 발부받은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윤해)이 자신을 지명수배하자 하루 만에 걸어나온 것이다. 행정고시 출신인 그는 줄곧 노동부에서 근무하다가 2008년 3월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실 행정관으로 발령받아 이영호 전 비서관 밑에서 일했다. 같은 해 7월에는 지원관실로 자리를 옮겼다. 비선으로 지원관실을 움직였던 이 전 비서관의 측근으로 지원관실에 파견된 셈이다. 진 전 과장은 지원관실의 행정 업무를 총괄하면서 사찰 보고서를 취합하는 역할도 맡았다. 지원관실이 누구의 지시로 움직였고, 어떤 업무를 담당했는지 속속들이 알고 있는 지원관실의 핵심인물인 셈이다.
또 2010년 7월, 검찰의 압수수색 직전에는 최종석 전 청와대 행정관과 함께 지원관실 하드디스크 영구 삭제를 주도했고 증거인멸의 주범으로 구속 기소돼 실형까지 살았다. 2심에서 집행유예로 풀려난 뒤에는 같은 혐의로 기소됐던 장진수 전 주무관에게 “이영호 비서관이 마련한 돈”이라며 2천만원을 건네기도 했다. 지원관실의 민간인 불법사찰과 증거인멸, 뒤이은 입막음 시도까지 진 전 과장은 이번 사건의 중요한 국면에 빠짐없이 등장한다. 매달 지원관실 특수활동비 280만원을 빼돌려 이 전 비서관 등을 지원한 혐의(업무상 횡령)로 진 전 과장을 체포한 검찰은 그를 둘러싼 각종 의혹을 추궁·조사한 뒤 체포 유효 시한인 오는 15일 오후까지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검찰은 특별수사팀에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2부 정희원 부부장 등 인지부서 검사 5명을 추가로 배치했다. 6명이던 기존 수사팀에서 검사 2명이 원 부서로 복귀하고 5명이 보강됨에 따라, 재수사에 투입된 검사는 모두 9명으로 늘어났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