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물 배수 원활치 않은데 강행”
“강남지역 폭우땐 또 수해 우려”
“강남지역 폭우땐 또 수해 우려”
감사원이 2010년, 2011년 광화문광장 등 서울 도심지역 침수에 대해 ‘조경공사만 신경 쓰다 정작 침수대책을 제대로 세우지 못해 일어난 인재’라고 지적했다. 서울 강남 지역의 침수예방 사업에 대해서도 방류 수역을 확보하지 않은 채 빗물펌프장 설치공사를 벌이는 등의 오류로 수해 재발이 우려된다고 경고했다.
감사원은 30일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하는 ‘도시지역 침수예방 및 복수 사업 추진실태’ 보고서를 발표했다.
감사원 발표를 보면, 서울시는 2010년 시민의 문화공간을 마련한다는 이유로 세종로 중앙분리대를 철거하고 350여억원을 들여 광화문광장을 준공했다. 당시 공사 과정에서 광화문 사거리의 하수도를 C자형으로 설치해 집중호우가 내리면 빗물 배수가 원활하지 않아 침수피해가 우려된다는 지적이 있었다. 하지만 서울시는 공사를 그대로 강행했고, 결국 2010년 9월, 2011년 7월 집중호우에 광화문 앞 광장이 물에 잠겼다.
연이은 침수피해 뒤의 재발방지 대책도 부실하기는 마찬가지였다. 감사원이 빗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는 임시 저류조의 위치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지만 서울시는 이를 무시한 채 수의계약으로 공사를 강행했다. 감사원 관계자는 “결론적으로 보면 근본적인 침수대책 없이 조경에만 관심을 쏟다 보니 결국 피할 수 있었던 침수피해가 일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감사원은 서울 강남지역의 침수예방 사업과 관련해 “반포, 구로지역 등에서 빗물을 흘려보낼 방류 수역을 확보하지 않은 채 침수예방 사업으로 빗물펌프장 설치공사를 벌였다”며 “지난해처럼 집중호우가 쏟아지면 상류 저지대의 경우 하류에서 방류가 되지 않아 침수를 피할 수 없다”고 말했다. 감사원 관계자는 “펌프장을 증설하지 말고 빗물 저류조를 설치하거나 한강으로 직접 배수하는 방안이 바람직한데도 이를 무시했다”고 말했다.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쫓고 쫓기고…웃을 수 없는 이해찬
■ 카이스트 외국인 전형 ‘구멍’…위조 상장도 합격
■ “유치장 속옷 탈의는 위법” 국가에 위자료 지급 판결
■ MBC 기자들 배현진에 분노 “공주병 걸려”
■ 내 인생 마지막 기회…금성의 태양면 통과 현상
■ 쫓고 쫓기고…웃을 수 없는 이해찬
■ 카이스트 외국인 전형 ‘구멍’…위조 상장도 합격
■ “유치장 속옷 탈의는 위법” 국가에 위자료 지급 판결
■ MBC 기자들 배현진에 분노 “공주병 걸려”
■ 내 인생 마지막 기회…금성의 태양면 통과 현상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