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투신에도 실질대책 없어
“학교폭력에 무신경” 비판 커져
“학교폭력에 무신경” 비판 커져
지난해 12월 이후 지금까지 대구에서 10명의 중고생이 잇따라 투신하면서 시교육청의 실질적 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대구지부 김정금 정책실장은 4일, “우동기 대구시교육감이 취임하면서 학교·교사·학생들에게 여러 경쟁적 압박을 더하는 정책을 취한 것이 잇따른 자살 사건의 근본적 이유”라며 “인권·시민·공동체 등을 중시하는 분위기가 전혀 없는 학교에서 학생들이 무방비 상태에 놓여 있다”고 말했다.
2010년 7월 취임한 우 교육감은 “교육도시의 명성을 되살리겠다”며 ‘학력신장’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 기숙사 건립은 우 교육감의 대표 사업으로 꼽힌다. “대구의 모든 고등학교에 기숙사를 건립하겠다”고 공약했던 그는 취임 이후 지금까지 13개 이상의 고교에 기숙사를 지었다. 24시간 학교에 머물면 학업성적이 높아질 것이라는 교육철학이 깔려 있다.
반면 학교폭력 등에 대해선 무신경하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지난 1월,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는 “형사처벌 최저연령을 현행 14살에서 12살로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월 ‘학교폭력 멈춰’ 캠페인을 학교폭력 근절 대책으로 내놓았는데, 당시 지역 교사·학생 등은 “거리에서 캠페인 전단지를 나눠준다고 학교폭력이 과연 사리지겠느냐”며 “전형적인 보여주기식 전시행정”이라고 비판했다.
지난 4월 말 우 교육감은 ‘긴급 호소문’을 각 언론사에 보냈는데, 당시 대구시교육청은 “숨진 학생들의 기사를 언론이 너무 상세히 묘사해 모방 자살이 되풀이돼서는 안 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5월에는 방송에 출연해 “(대구지역 학생들의 잇따른 투신자살은) 전직 대통령부터 사회지도층 인사들이 어려움을 피하는 방법으로 자살을 택하는 요인이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말해 논란을 자초했다.
우 교육감이 중고생 자살의 이유를 교육 바깥에서 찾고 있는 동안 지역 교육단체는 우 교육감 퇴진을 공개 촉구하고 있다. 지난 4월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대구지부는 성명을 통해 “우 교육감의 대처 방식과 교육정책을 보면서, 중대한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또다른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정책을 그대로 고수하고 있다고 판단한다”며 사퇴를 촉구했다.
대구/김지훈, 이재훈 기자 na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2년째..나 맞고 산다” 대구서 학생 10번째 투신
■ 임수경, ‘근본없는 탈북자 XX’ 막말 파문
■ 중앙 일간지 현직 기자, 검찰 컴퓨터 열어보다 적발돼
■ 미국 ‘미인계’에 걸려든 중국 스파이 체포
■ 세계유일 ‘성교육버스’ 탁트인 세상으로 부릉부릉
■ “2년째..나 맞고 산다” 대구서 학생 10번째 투신
■ 임수경, ‘근본없는 탈북자 XX’ 막말 파문
■ 중앙 일간지 현직 기자, 검찰 컴퓨터 열어보다 적발돼
■ 미국 ‘미인계’에 걸려든 중국 스파이 체포
■ 세계유일 ‘성교육버스’ 탁트인 세상으로 부릉부릉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