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소단위 방식으로…“옛 도시 조직과 역사성 유지”
서울 종로구 인사동 일대가 전면철거식 재개발 방식이 아니라 ‘소단위 맞춤형 재개발’을 통해 새 단장에 들어갈 예정이다. 1990년에 ‘도시재개발법’으로 도입된 이 정비 방식이 서울에서 적용되긴 처음이다.
이제원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5일 “전면철거형 재개발 구역으로 묶여 30년 넘게 손을 쓰지 못하고 있던 인사동 120번지 일대(공평구역)가 소단위 맞춤형 정비로 변경된다”며 “밀집된 노후건축물을 정비하면서도 옛 도시 조직과 역사성을 유지·보전하겠다”고 밝혔다. 전면철거 재개발 방식은 주민 갈등이 불거져 사업 속도가 더딘 반면, 필요한 곳만 골라 손보는 소단위 맞춤형 재개발은 주민 갈등이 줄어들고 사업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시는 기대했다.
소단위 맞춤형 정비 대상은 1978년 철거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된 공평구역 19개 지구 가운데 아직 개발되지 않은 6개 지구다. 서울시는 이 6개 지구를 64개의 소규모 개발단위로 조정해, 인사동의 기존 ‘필지 체계’와 골목길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노후지역의 정비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개별지구의 경우 건폐율, 주차장 설치 등의 건축기준이 완화되어 자율적 정비가 가능해진다. 다만 낡고 오래된 건축물이 밀집해 있거나 주변 고층건물과의 조화로운 경관 조성이 필요한 곳 등을 ‘공동개발지구’(3곳)로 분리지정, 남은 61개의 개별지구와 용적률, 높이, 기부채납 비율 등을 달리 적용해 공공성과 수익성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지역 주민 면담 등을 통해 수립한 해당 도시계획안을 주민 공람, 구의회 의견 청취, 시 도시계획위 심의 등 남은 행정절차를 거쳐 9월께 변경고시할 예정이다.
이제원 도시계획국장은 “소단위 맞춤형 정비는 지역 특성과 역사성을 살리면서도 낙후성도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도심 정비계획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시는 인사동을 기점으로 관수동, 낙원동, 인의동, 충무로3가, 효제동 등 11곳 일대의 91㏊(헥타르)를 소단위 맞춤형 정비 대상으로 추진중이거나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카톡 무료통화 해보니…
■ ‘29만원’ 전두환, 손녀는 톱스타급 ‘초호화’ 결혼식
■ 조현오 재소환…경찰 또 과잉경호 눈살
■ 국장·부장급 15명 파업 동참…MBC 김재철 사장 ‘고립무원’
■ 75일간의 기록, 우리는 6남매 ‘다~람쥐’
<한겨레 인기기사>
■ 카톡 무료통화 해보니…
■ ‘29만원’ 전두환, 손녀는 톱스타급 ‘초호화’ 결혼식
■ 조현오 재소환…경찰 또 과잉경호 눈살
■ 국장·부장급 15명 파업 동참…MBC 김재철 사장 ‘고립무원’
■ 75일간의 기록, 우리는 6남매 ‘다~람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