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진 전국언론노동조합 부산일보지부장이 지난 1월 편집국 독립과 노조원 징계 철회 등을 요구하며 부산일보 사옥 1층에서 천막농성을 벌이고 있다. 부산일보 제공
이호진 부산일보 노조위원장
정수장학회, 박근혜 도울 의도 드러내
우리가 독립해야 하는 것도 이런 이유
공익법인화로 비정치권 이사진 꾸려야
정수장학회, 박근혜 도울 의도 드러내
우리가 독립해야 하는 것도 이런 이유
공익법인화로 비정치권 이사진 꾸려야
“정수장학회가 멋대로 <부산일보>를 매각할 자격이 어디 있습니까? 그것도 방패막이를 삼으려는 기업에 팔아치우려고 하니 어이가 없습니다.”
이호진(40) 전국언론노동조합 부산일보지부장은 14일 <한겨레>와 한 전화인터뷰에서 “언론은 국민의 알권리와 진실보도를 사명으로 하는 공공재의 성격이 강하다”며 “강압에 의해 빼앗은 부산일보를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민간기업에 매각하는 것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노조 쪽은 부산일보의 지분 100%를 갖고 있는 정수장학회에서 독립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편집권 독립과 정수장학회의 사회 환원 등을 요구해왔다. 관련 기사를 지면에 실었다가 지난해 11월 ‘대기발령’ 조처를 당한 이정호 부산일보 편집국장은 지난달부터 상경해 한국언론회관 앞에서 농성중이다.
이 지부장은 “매각 대금으로 부산·경남 지역 노인정이나 난치병 환자 치료시설에 기부하려는 계획 자체가 정수장학회 이사장을 지낸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를 돕기 위한 정치적 의도를 드러낸 것”이라며 “부산일보가 독립해야 하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부산일보가 한 해 50여억원의 적자를 내고 직원들의 임금을 깎으면서도 지분 인수 뒤 50여년 동안 한 푼도 투자를 하지 않았던 정수장학회에 해마다 장학금 명목으로 8억원을 보내는 것 자체도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이 지부장은 “정수장학회가 오는 19일 매각 발표를 하려는 것은 18일 노조위원장 선거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며 “기업 매각은 부산일보사 구성원들의 자존심을 짓밟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노조가 들어서든 반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굳이 부산일보를 매각하려면 시민사회진영과 교육계의 신망있는 인사, 부산일보 구성원, 전 소유주였던 김지태씨 유가족 등이 참여해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지부장은 부산일보를 권력의 눈치를 보지 않는 독립된 언론으로 세우기 위한 방안으로 정수장학회의 주식을 넘겨받아 별도의 공익법인을 만들 것을 제시했다. 그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한국방송이나 문화방송 사장 선임을 둘러싸고 공정성 시비가 끊이지 않는 것을 반면교사로 삼아 공익법인의 이사진을 비정치권 인물로 구성해 사장을 선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단독] 이 “MBC지분 매각 극비리에”…최 “발표는 19일 꼭 해야”
■ [단독] MBC 이진숙 “정치적 임팩트 굉장히 큰 사안”
■ “박 후보가 물러나라고 연락? 없었어…결승의 날 오는데, 나도 한몫 해야지”
■ [사설] ‘장물’로 박근혜 선거운동 하자는 김재철·이진숙씨
■ 정수장학회 비밀회동 대화 취재 ‘도청’ 아니다
■ 자라는 입으로 소변 본다
■ [화보] 손연재, 나비처럼
■ [단독] 이 “MBC지분 매각 극비리에”…최 “발표는 19일 꼭 해야”
■ [단독] MBC 이진숙 “정치적 임팩트 굉장히 큰 사안”
■ “박 후보가 물러나라고 연락? 없었어…결승의 날 오는데, 나도 한몫 해야지”
■ [사설] ‘장물’로 박근혜 선거운동 하자는 김재철·이진숙씨
■ 정수장학회 비밀회동 대화 취재 ‘도청’ 아니다
■ 자라는 입으로 소변 본다
■ [화보] 손연재, 나비처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