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추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년 목표서 내달 22일로 바꿔
전시물도 대부분 ‘박정희 편향적’
관장 MB측근 이배용씨 내정돼
2014년 목표서 내달 22일로 바꿔
전시물도 대부분 ‘박정희 편향적’
관장 MB측근 이배용씨 내정돼
국회 국정감사에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하 역사박물관) 건립을 둘러싼 각종 의혹과 비판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22일 노웅래 의원(민주통합당)을 통해 입수한 문화체육관광부(문화부) 국정감사 자료를 종합하면, 정부는 역사박물관 건립 방침을 밝혔던 2008년엔 개관 시기를 2014년이라고 밝혔으나, 건립 계획 단계인 2009년엔 2013년 2월로 당겨 잡았고, 지난해 12월에는 개관을 올해 12월로 고친 데 이어, 지난 5월에는 올해 11월22일로 개관일을 다시 바꾼 것으로 드러났다.
노 의원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치적을 편향적으로 알리는 박물관 개관 시기를 앞당겨 대선에 영향을 미치려는 게 아니냐”고 지적했다. 홍석률 성신여대 교수(사학과)는 “독일 현대사 박물관인 ‘역사의 집’은 준비만 10년이 걸렸다”며 “논란 많은 한국 현대사를 다루는 박물관을 2년 반 만에 개관하는 것은 상식적이지 않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문화부 관계자는 “박물관 건물 공사가 일찍 마무리된데다 국민들에게 조금 더 일찍 개방하려고 개관 일정을 앞당겼다”며 “12월 개관을 목표로 한 적은 있지만, 개관식을 열기에 날씨가 너무 춥다는 지적이 있어 11월에 하기로 했다”고 해명했다.
박물관이 박 전 대통령 미화에 치중돼 있다는 점도 거듭 확인되고 있다.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에 대지 6445㎡, 8층 규모로 개장하는 이 박물관의 4개 전시실 가운데 박정희 정권 시절에 해당하는 제3전시실(‘성장과 발전’)의 면적은 960㎡로, 680㎡ 크기의 다른 전시실보다 40% 이상 규모가 크다. 제3전시실의 전시물 445건 가운데 84.1%(374건)가 새마을운동(48건), 경부고속도로(18건) 등 박 전 대통령의 업적을 다룬 반면, 3선 개헌 반대(5건) 및 유신 반대운동(11건) 등을 소개한 전시물은 71건에 불과하다.
노웅래 의원실은 “전시물 해설 기초자료에 대한 연구용역에도 특혜 의혹이 있다”며 “지난해 9월 문화부가 설립 3개월밖에 되지 않은 회사에 용역을 맡겼는데, 이 회사의 대표는 역사 전문가가 아닌 사진작가 출신”이라고 밝혔다. 또 “초대 박물관장으로 이명박 대통령의 정책자문위원 출신인 이배용 전 국가브랜드위원장이 내정돼 정권말 회전문 인사의 전형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역사박물관 관계자는 “아직도 전시물 목록을 계속 교체하며 고심하고 있는 단계”라며 “편향적이라는 오해가 있었지만, 최종적으로는 민주화 관련 전시물이 더 많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배용 전 위원장은 박물관장 내정설에 대해 “아직 결정된 사실은 없다”고 밝혔다. 정환봉 엄지원 기자 bong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아버지 시대’ 앞에 서면 왜 박근혜는 작아지는가
■ ‘박정희 미화’ 박물관 3번 앞당겨 조기 개관…대선 지원용?
■ 역사박물관, 박근혜 선거 위해 헌납하는가
■ 연금공단 이사장 “내년 보험료 인상 불가피”
■ 수급탈락 뒤 자살한 할머니의 자녀, 고소득 아니었다
■ 청년백수 면접양복 대여 프로젝트 “주말에만 헤쳐모여”
■ [화보]응답하라 MBC
■ ‘아버지 시대’ 앞에 서면 왜 박근혜는 작아지는가
■ ‘박정희 미화’ 박물관 3번 앞당겨 조기 개관…대선 지원용?
■ 역사박물관, 박근혜 선거 위해 헌납하는가
■ 연금공단 이사장 “내년 보험료 인상 불가피”
■ 수급탈락 뒤 자살한 할머니의 자녀, 고소득 아니었다
■ 청년백수 면접양복 대여 프로젝트 “주말에만 헤쳐모여”
■ [화보]응답하라 MBC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