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조사위 누리집에 정보공개
4500여명 달해…유골봉환 지원
4500여명 달해…유골봉환 지원
부모 등 친인척이 일제 강점기에 강제동원돼 일본이나 러시아에서 사망한 것으로 의심되지만 확인할 길이 없었던 유족들이 유골을 찾을 길이 열린다.
국무총리실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일본과 러시아 사할린에서 수집한 유해·묘지 정보 가운데 신원이나 유족이 확인되지 않은 4500여명의 정보를 다음달 1일부터 누리집(jiwon.go.kr)에 공개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되는 4500여명은 이름, 창씨명, 생년월일, 본적 등 신원을 파악할 때 필요한 정보 가운데 일부가 누락되거나 잘못 기입된 탓에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이들이다. 신원은 확인됐지만 위원회가 유족을 찾지 못한 경우도 포함됐다. 위원회 관계자는 “명부에서 친인척이라는 생각이 드는 사람이 있을 경우 유족들이 갖고 있는 정보를 위원회에 제출하면 위원회가 신원을 확인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유족을 찾은 강제동원 피해자 유골의 봉환을 지원할 계획이다. 일본에 있는 피해자의 유골은 일본 정부가 책임지고 유족들에게 봉환하도록 지난 2004년 12월 한-일 정상회담에서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고이즈미 총리가 합의했으며, 이에 따라 신원이 확인된 피해자의 유골 423위를 돌려받기도 했다. 위원회는 사할린의 유골 봉환을 위해 러시아 정부와 외교적인 협의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봉환된 유골은 일제 강점기 때 숨진 국외 동포들이 묻혀있는 충남 태안 ‘국립 망향의 동산’에 안장된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