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우경화 원인·대책 짚어
“감정적 반일 보도도 문제”
공동 기획·취재 제안도
“올해 일본의 중등학교 역사교과서 관련 싸움은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만을 상대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의 우익화에 대한 싸움이어야 한다. 나아가 이것은 동북아 나라들이 앞으로 어떻게 연대할지 대답이 돼야 한다.”
16일 오전 서울 태평로 한국언론회관에서 한국의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과 일본의 매스컴문화정보노조회의(MIC)가 공동으로 연 ‘한-일 화해를 위한 양국 언론인들의 역할’ 심포지엄에서 일본 쪽 주제발표자인 요시다 노리히로 일본출판노동자연합회 교과서대책부 사무국장은 이렇게 주장했다.
요시다 사무국장은 “일본에서 ‘새역모’는 역사교과서 내용을 바꾸려는 모임이 아니라, 일본을 2차대전 전처럼 ‘전쟁이 가능한 국가’로 전환하려는 모임”이라며 “군사력으로 국외 생산거점을 지키려는 일본 재계가 이들을 지원한다는 점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 쪽 발제자인 이병선 <문화일보> 국제부장은 동북아 나라들의 협력을 강조했다. 이 부장은 “경제 상호성이 깊은 한·중·일 3국이 손을 맞잡고 지역내 경제를 빠르게 성장시켜야 할 시점에 내셔널리즘으로 인해 일을 그르치고 있다”며 “한-일 간의 진정한 화해는 앞으로 일본이 한반도 통일에 얼마나 기여하는가에 달려 있으며, 한국 언론은 일본 보도 때 감정적인 비판을 자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일본 쪽 강연자로 나선 마루야마 시게타케 간토학원대학 법학부 교수는 “일본은 올해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시도하면서 고이즈미 총리가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계속하고 시마네현은 다케시마의 날을 정해 한국인들을 분노하게 했다”며 “이런 책임은 경제대국에 걸맞은 힘을 가져야 한다는 일본의 대국주의에 있다”고 비판했다.
한국 쪽 강연자인 최원식 인하대 교수도 “사사건건 북한을 트집잡아 왕따를 자초한 지난 6자 회담에서 일본은 자신의 작은 이익에만 매달리는 모습을 이웃나라에 보여줬다”며 “65년 한-일 협정 체제에서 벗어나 큰 나라답게 동아시아의 평화와 협력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치가와 하야미 <아사히신문> 주한 특파원은 “한국인들이 반일적 문제에서 거의 100% 똑같이 행동하는 것은 한국을 이해하려는 일본의 양식있는 사람들을 고민에 빠뜨린다”고 지적했다. 또 이시마루 지로 아시아 프레스 인터내셔널 오사카 대표도 “한국인이 일장기를 태웠을 때 그것을 기사나 사진으로 보도하면 불필요하게 서로 감정이 나빠질 수 있다”며 “다케시마 문제가 터졌을 때도 교류중인 한·일 언론인이나 노조들이 서로 연락해 공동으로 대응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아쉬움을 털어놓았다.
정운현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사무처장은 “한-일 간에 불필요한 갈등을 일으키는 무분별하고 피상적인 보도에서 벗어나기 위해 양국 언론은 △상대방 나라의 전문기자를 길러내고 △언론사 사이 언론인 교류를 활성화하며 △관심사에 대해 공동 기획·취재를 벌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