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필립 전 정수장학회 이사장이 정수장학회가 보유한 <문화방송>(MBC) 주식을 매각하는 계획을, 자신이 아닌 문화방송 쪽에서 추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최 이사장이 매각 발표를 도와달라고 했다’는 이진숙 문화방송 기획홍보본부장의 주장과 정반대다.
14일 서울중앙지법 형사5단독 이성용 판사 심리로 열린 최성진 <한겨레> 기자의 통신비밀보호법 위반 혐의 공판에서, 최 전 이사장은 “김재철 당시 문화방송 사장으로부터는 지분매각 방법 연구를 위해 관련 전문가(이상옥 전략기획부장)를 스카우트했다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10월8일 이뤄진 3자 회동 당시 상황에 대해서도 “이진숙 기획홍보본부장이 ‘지분 문제 관련해 보고할 게 있다’며 그 사람(이 부장)을 데리고 사무실로 왔다”고 말했다. 당시 이 본부장 등은 최 전 이사장에게 지분 매각 방법 등을 얘기했다.
이에 대해 최 전 이사장은 “내가 지분매각 방안을 지시한 적은 없다. 지분 매각은 정부의 허가가 있어야 하고, 관련 소송이 진행중이어서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단지 희망사항일 뿐이다. (속으로는 실현불가능한 일인 줄 알면서도) 문화방송 쪽에서 노력을 했으니 찬물을 끼얹을 수 없었다”라고 말했다.
지난달 15일 공판에서 증인으로 나온 이 본부장은 “문화방송 쪽에서 주식을 팔자고 제안한 것 아니냐”는 최 기자 변호인의 질문에 “그렇지 않다. 최 이사장이 10월19일에 (매각) 발표를 하게 준비해달라고 하면서 정부의 동의를 받는 절차 등을 도와달라고 했다”고 말한 바 있다. 양쪽이 정수장학회 지분 매각 추진 책임을 떠넘기는 셈이다.
이날 공판에서 최 전 이사장은 3자 회동 녹취록((<한겨레> 2012년 10월13·15일치 참조)에 나온 자신의 발언을 부인했다. 그는 ‘부산·경남 학생 전체에 반값등록금을 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에 대해 “그런 말 한 사실이 없다. 했다면 내가 제정신이 아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대화의 취지에 대해서도 “난 정치인도 아니고 매명에 욕심도 없다. 정치적 의도나 대선에 영향을 끼치려는 목적이 전혀 없었다”라고 주장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잠적한 윤창중, 한겨레 카메라에 포착
■ 앤젤리나 졸리 “유방암 막기 위해 유방절제 수술 받았다”
■ “입금 못하면 오늘 죽어!” 남양유업 갑질하는 목소리 추가 공개
■ 청와대·문화원, 커지는 ‘윤창중 성추행’ 은폐 의혹
■ [화보] 법원 앞 나꼼수 맨인블랙
■ 잠적한 윤창중, 한겨레 카메라에 포착
■ 앤젤리나 졸리 “유방암 막기 위해 유방절제 수술 받았다”
■ “입금 못하면 오늘 죽어!” 남양유업 갑질하는 목소리 추가 공개
■ 청와대·문화원, 커지는 ‘윤창중 성추행’ 은폐 의혹
■ [화보] 법원 앞 나꼼수 맨인블랙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