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원 국무총리(왼쪽 둘째)가 지난 6월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통합브리핑실에서 ‘원전 비리 재발 방지 대책’을 발표한 뒤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왼쪽부터 황교안 법무부 장관, 정 총리,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은철 원자력안전위원장.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한전·한수원과 계약서류 등 확보
검찰이 원전 납품 비리와 관련해 현대중공업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검찰이 원전 비리 수사를 대기업으로까지 확대하는 것이어서 결과가 주목된다.
검찰 원전비리 수사단(단장 김기동 부산지검 동부지청장)은 10일 오후 5시부터 울산 동구 방어동 현대중공업 본사 건물 가운데 원전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의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현대중공업이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에 납품한 원전 부품과 관련한 계약서류와 컴퓨터 파일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지난달 압수수색을 벌인 한수원 송아무개(48·구속기소) 부장의 집과 지인 집에서 발견된 5만원권 현금 6억~7억원을 현대중공업이 전달한 혐의를 포착하고 이날 전격 압수수색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송 부장은 2008년 1월 원전 부품 제조업체인 제이에스(JS)전선에서 제어용 케이블(안전성 Q등급)의 시험을 캐나다 업체에 맡겼다가 불합격 판정을 받자 원전 부품 성능검증업체인 새한티이피 직원 등과 공모해 캐나다 업체가 발급한 시험성적서를 위조한 뒤 59억원어치의 제어용 케이블을 제이에스전선이 한수원에 납품하도록 한 혐의로 8일 구속기소됐다.
송 부장은 2010년에 한국전력에 파견돼 최근까지 원전 설비 구매 업무를 맡았다. 현대중공업은 2011년부터 최근까지 원전 비상발전기와 펌프 및 변압기 관련 부품을 한전에 공급했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현대중공업이 송 부장한테 납품과 관련해 편의를 봐달라며 금품을 건넨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송 부장의 금품 사건에 누가 얼마나 연루됐는지는 알 수가 없다. 검찰 수사에서 밝혀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검찰 관계자는 “원전 납품 비리 수사와 관련해 납품계약과 관련된 자료 등을 확보하기 위해 압수수색을 했다. 일반적인 납품 비리 단서가 발견된 것일 뿐 현재까지 원전 부품의 하자, 부품 관련 서류의 조작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대운하 아니라더니…‘MB의 4대강’ 국민 속였다
■ “노 전 대통령 발언, NLL 포기 맞다” 국정원 또 ‘도발’
■ 아시아나 사고 현장에 바지 입은 여승무원 왜 한명도 없나 했더니…
■ 고려대 ‘학부모 성적 열람 전자시스템’ 도입에 학생들 “부글부글”
■ [화보] 아시아나 항공기 샌프란시스코 공항 착륙 사고 현장
■ 대운하 아니라더니…‘MB의 4대강’ 국민 속였다
■ “노 전 대통령 발언, NLL 포기 맞다” 국정원 또 ‘도발’
■ 아시아나 사고 현장에 바지 입은 여승무원 왜 한명도 없나 했더니…
■ 고려대 ‘학부모 성적 열람 전자시스템’ 도입에 학생들 “부글부글”
■ [화보] 아시아나 항공기 샌프란시스코 공항 착륙 사고 현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