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은 2명도 건강악화
20년 전 일본이 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이른바 ‘고노 담화’를 발표할 당시 일본 정부 조사단에 위안부 강제동원 실태를 증언했던 피해자 16명 가운데 14명이 사망한 것으로 전해졌다. 살아있는 2명의 건강도 좋지 않아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반성을 받아내는 작업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4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관계자 등의 설명을 종합하면, 1993년 한국을 찾은 일본 정부 진상조사단에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실태를 증언한 피해자 16명 중 현재 생존자는 2명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윤아무개(82)·김아무개(87) 할머니로, 현재 건강상태가 심각하다. 정대협 관계자는 “두 분 모두 건강이 매우 안 좋다. 한 분은 치매를 앓고 있고, 다른 한 분은 고혈압과 당뇨로 간병인의 보살핌을 받는 처지다”라고 밝혔다.
이들 위안부 피해자는 1993년 7월 방한한 일본 조사단에 위안부로 강제동원된 사실을 증언했다. 이들의 증언은 같은해 8월4일 발표된 일본 정부의 ‘이른바 종군위안부 문제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보고서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당시 발표자였던 고노 요헤이 관방장관의 이름을 따 ‘고노 담화’로 불린 이 발표에서 일본 정부는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동원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그러나 최근 자민당 정권을 중심으로 한 일본 보수세력은 고노 담화를 ‘자학 사관’으로 폄훼하면서 ‘위안부 강제동원 증거는 없다’는 주장을 또다시 내놓고 있다. 반면 국내 위안부 피해자들은 제대로 된 사과도 받지 못한 채 고령으로 숨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북한의 ‘조선 일본군 성 노예 및 강제연행 피해자 문제 대책위원회’(조대위)가 일본의 성 노예 범죄, 역사 왜곡, 독도 영유권 주장, 군국주의 부활 등을 주제로 한 토론회 개최를 남쪽에 제안했다. 김동희 정대협 사무처장은 “조대위 쪽에서 오는 29일께 중국 선양에서 남과 북, 국외 여성단체들이 참여하는 토론회를 열자고 지난달 31일 제안을 해왔다. 현재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 대통령, 휴가는 끝냈지만 ‘침묵’은 계속
■ 서울대공원의 홍학이 날지 못하는 ‘슬픈 이유’
■ 1달러에 페북 ‘좋아요’ 1천번…‘클릭 공장’ 방글라데시서 성업중
■ [화보] 1950년대부터 90년대까지 해수욕장 풍경 변천사
■ [화보] ‘국정원 대선 개입 규탄’ 촛불집회 현장
■ 박 대통령, 휴가는 끝냈지만 ‘침묵’은 계속
■ 서울대공원의 홍학이 날지 못하는 ‘슬픈 이유’
■ 1달러에 페북 ‘좋아요’ 1천번…‘클릭 공장’ 방글라데시서 성업중
■ [화보] 1950년대부터 90년대까지 해수욕장 풍경 변천사
■ [화보] ‘국정원 대선 개입 규탄’ 촛불집회 현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