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은 주로 로또·인터넷 게임·화투와 카드 순으로 도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일반인과 대학생의 도박참여율을 비교한 결과 ‘인터넷 도박’은 약 30배, ‘스포츠 토토’의 경우는 약 5배나 대학생이 일반인에 비해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을지대학교 중독재활복지학과 김영호 교수는 지난 25일 이 학교 성남캠퍼스 밀레니엄홀에서 ‘2013 강원랜드 중독관리센터(KLACC)대학생 중독예방 활동위원 학술제’에서 이런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김 교수가 지난해 전국 16개 ‘대학생 도박문제 예방활동단’ 회원 약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대학생들은 도박행동에 대해서는 ‘적당히 건전하게 즐기면 괜찮다’(약 50%)와 ‘무조건 금지해야 하고 바람직하지 않다’(약 45%)로 양극화된 시각을 보였다. 또 도박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약 65%가 ‘별다른 영향이 없다’고 답했고, ‘학업에 방해가 된다’고 답한 비율도 30%를 차지했다.
학업에 방해가 되는 것은 시차가 있는 ‘스포츠토토’와 같이 해외 온라인 도박 사이트에 접속해서 잠자는 시간이나 수업시간에도 도박에 빠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대학생들의 이런 도박성향은 ‘동료효과’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효과란 나의 선택과 만족도는 가까운 내 주변 사람으로부터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영화 <친구>의 대사처럼 “함께 있을 때 우린 아무것도 두려운 것이 없었다”라는 말은 이런 동료효과를 적절하게 표현한 것이라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김 교수는 “대학생 도박문제는 대개 무시하거나 웃고 넘겨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도박문제 고위험군인 대학생 집단은 위험한 성생활, 알코올 사용, 불법 약물 사용에 있어서도 고위험군인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성남/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