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근 농가에서 AI 발병 이유로
닭 7만마리 무조건 살처분 통보
“면역력 좋아…행정편의주의 발상
모두 죽이면 인증은 왜 하나” 반발
닭 7만마리 무조건 살처분 통보
“면역력 좋아…행정편의주의 발상
모두 죽이면 인증은 왜 하나” 반발
국내 첫 ‘동물복지 축산농장’을 운영하는 동일농장의 홍기훈(54) 대표는 요새 잠을 못 이룬다고 했다. 지난 4일 충북 음성군의 오리농장이 조류인플루엔자(AI) 확진 판정을 받은 뒤 홍 대표가 키우는 닭 7만1000마리도 살처분 위기에 몰렸다. 홍 대표가 운영하는 동일농장 4곳 가운데 3곳이 조류인플루엔자 확진 농가로부터 3㎞ 정도 떨어져 있어 예방적 살처분 반경 안에 든다.
9일 <한겨레> 취재진과 만난 홍 대표는 “인근 농가에서 조류인플루엔자가 발병했다는 이유로 무조건 살처분하는 건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이라고 강조했다. 더구나 홍 대표의 닭들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인정한 동물복지 인증 기준에 따라 사육되기에 면역력이 다른 닭에 견줘 훨씬 뛰어나다. 대형 식품회사에 다니다 동물복지에 관심을 갖게 된 홍 대표는 2009년부터 농장을 운영하다 2012년 7월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국내 1호 동물복지 축산농장’으로 인증받았다. 동물복지 인증 기준에 따라 1㎡당 9마리 이하의 닭을 키웠고, 닭이 올라앉을 수 있도록 홰를 한마리당 최소 길이가 15㎝ 이상 되도록 설치했다. 보통 양계농가에선 A4 용지 3분의 2 크기의 닭장에 닭들을 빽빽하게 넣어 기른다. 농식품부는 인증 당시 “동물이 밀집사육되거나 지저분한 환경에서 사육되는 경우 스트레스로 면역력 등 건강 상태가 떨어지기 때문에 유럽연합 등 주요 선진국의 제도를 도입해 환경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농식품부는 인증 2년 만에 동일농장 닭들도 예방적 살처분을 하겠다고 나섰고, 홍 대표는 분개했다. “하천, 조그만 산, 마을 등이 지리적인 경계가 되고 있다. 닭들은 2층까지 날아오를 정도로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며 잘 뛰어놀고 있다. 사육 방법에 따라 면역력이 다른데, 만에 하나의 가능성 때문에 모두 살처분하면 이런 제도를 애초 시행할 필요가 없었던 거 아니냐.”
충북 음성과 진천군에서마저 살처분을 반대하며 적극 나선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음성·진천군은 일반 농장과 축산업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조류인플루엔자로부터 안전하다며 충청북도와 농식품부에 예방적 살처분에서 제외해줄 것을 건의했다. 그러나 농식품부의 태도는 완강하다. 홍 대표는 “앞서 억울하게 살처분당한 농가들이 있기 때문에 같이 죽여야 형평성에 맞는다는 답변을 농식품부로부터 들었다”고 말했다. 한국동물보호연합 이원복 대표는 “예방적 살처분이라는 게 과학적 근거가 없고 무모한 정책이다. 외국에서는 조류인플루엔자의 근본원인이 공장식 축산에 있다며 동물복지 농장을 확대하는데, 복지농장 가금류까지 살처분한다는 것은 거꾸로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