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이상 게이인 것이 부끄럽지 않아요.” 성소수자가 자신의 성 정체성을 인정하고 당당해하는 것을 ‘게이 프라이드’(gay pride)라고 일컫는다. <한겨레> 설문조사에 응한 성소수자 100명 중 ‘성소수자인 것이 부끄럽다’고 응답한 비율은 7%에 그쳤다. 국내 성소수자들의 ‘게이 프라이드’가 높아졌음을 뜻한다. 사진 왼쪽부터 차례로 여성 동성애자 홀릭(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대표), 트랜스젠더 김지은씨, 남성 동성애자 이종걸(친구사이 사무국장)·장병권(동성애자인권연대 사무국장)씨. 취재 허재현 기자 catalunia@hani.co.kr, 사진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토요판] 커버스토리 / 게이 프라이드
“더이상 게이인 것이 부끄럽지 않아요.” 성소수자가 자신의 성 정체성을 인정하고 당당해하는 것을 ‘게이 프라이드’(gay pride)라고 일컫는다. <한겨레> 설문조사에 응한 성소수자 100명 중 ‘성소수자인 것이 부끄럽다’고 응답한 비율은 7%에 그쳤다. 국내 성소수자들의 ‘게이 프라이드’가 높아졌음을 뜻한다. 사진 왼쪽부터 차례로 여성 동성애자 홀릭(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대표), 트랜스젠더 김지은씨, 남성 동성애자 이종걸(친구사이 사무국장)·장병권(동성애자인권연대 사무국장)씨.
취재 허재현 기자 catalunia@hani.co.kr, 사진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토요팟] ‘게이 프라이드’, 성소수자 인권운동 20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