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체육관 무엇이 문제였나
소규모 가건물에나 쓰는 자재
수백명 이용하는 시설엔 부적합
기둥 안세우는 PEB 공법 쓰면서
지붕 완만한 경사 만든 것도 문제
소규모 가건물에나 쓰는 자재
수백명 이용하는 시설엔 부적합
기둥 안세우는 PEB 공법 쓰면서
지붕 완만한 경사 만든 것도 문제
시공 기간이 짧고 저렴하며 단열이 잘되는 ‘샌드위치 패널’이 이번 폭설엔 독이 됐다. 쌓인 눈의 무게를 이기지 못한 패널이 종잇조각처럼 구겨져 내리면서, 대학에 첫발을 내디딜 새내기와 재학생 등 10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이번 대형참사가 일어난 경북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체육관은 샌드위치 패널로 만들어진 건축물이다. 이 패널은 가볍고 조립이 쉬워 짧은 시간에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어 공장이나 창고 등을 만들 때 흔히 이용된다. 스티로폼이나 솜 등을 가운데 두고 양쪽에 철판을 샌드위치처럼 붙여 만들어 단열 기능도 강하다.
문제는 붕괴에 취약하다는 점이다. ‘경고음’은 이미 시작되고 있었다. 사고가 난 마우나리조트 체육관과 같은 방법으로 지어진 울산 지역의 건물들은 9~10일 23㎝가량의 폭설로 지붕이 무너져 내렸다. 리조트가 있는 경주 양남면에는 6일부터 사고가 난 17일까지 48㎝의 눈이 내렸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하중 등 안전에 취약한 자재를 소규모 가건물이 아니라 체육관 등 수백명이 사용하는 다중이용시설에 사용한 것이 사고의 씨앗이 됐다고 지적했다. 체육관을 샌드위치 패널로 만드는 경우는 거의 없다. 조명래 단국대 교수(도시지역계획학과)는 “샌드위치 패널은 화재에도 취약해 그동안 수많은 대형 참사를 통해 위험성이 증명된 자재다.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시설은 안전이 최우선인데, 창고도 아니고 수백명이 모이는 체육관을 샌드위치 패널로 만든 것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하중에 취약한 자재를 쓰면서 내부에 기둥을 세우지 않은 피이비(PEB) 공법으로 건물을 세운 점도 사고를 키웠다. 내부에 기둥을 세우지 않고 바깥쪽의 철골조로만 모든 하중을 견디도록 만들어 실내 공간은 넓게 사용할 수 있지만, 이번 사고 현장처럼 정확한 하중을 반영하지 못하면 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
부실 시공 의혹도 잇따른다. 붕괴 현장 화면과 사고 전 체육관 사진 등을 본 전문가들은 사고가 난 체육관 지붕이 평평한 편이라고 지적한다. 샌드위치 패널은 하중에 약한 특성상 지붕에 경사를 많이 줘 눈이 쌓일 경우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안형준 건국대 교수(건축학)는 “샌드위치 패널은 하중을 견디는 건축 자재가 아니라 방음·단열 자재다. 지붕에 경사를 두거나 열선을 둬야 한다”고 지적했다.
샌드위치 패널 건물 특성상 체육관 지붕이 무너져 내리면서 건물 출입구가 변형돼 문이 열리지 않는 바람에 신속한 대피가 어려웠던 점도 피해를 키웠다. 샌드위치 패널을 싸고 있는 철판은 압력을 버티는 힘이 크지 않다.
샌드위치 패널 건물의 취약점이 많은데도, 이 체육관은 지어진 이후 한 차례도 안전점검을 받지 않았다. 기준 면적에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체육관은 1205㎡ 크기로 리조트 쪽의 의뢰를 받은 경북 포항의 ㅅ건설이 2009년 6월24일 공사를 시작해 그해 9월9일 두달 보름 만에 준공했다. 경주시 관계자는 “기준 면적인 5000㎡ 이상 규모에 미치지 못해 그동안 안전진단을 한 적이 없었다”고 말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샌드위치 패널로 지은 모든 건축물에 대한 안전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조명래 교수는 “이 체육관과 같은 건축물은 그동안 안전진단 없이 허가만 받아서 다중이 이용해왔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안전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경욱 기자, 대구/구대선 기자 da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