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25일 오전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동숭동 국립 국제교육원으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명수 교육 장관 후보자 교수 시절 수업받은 학생들 평가
“박 대통령 찬양 발언…지금 뭘 듣고 있나 싶은 적 많았다”
“박 대통령 찬양 발언…지금 뭘 듣고 있나 싶은 적 많았다”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교수 시절 정해진 수업시간의 절반가량만 채우는 ‘반토막 강의’를 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전교조가 법외노조 판결을 받은 뒤 반나절 조퇴투쟁을 결의하자 교육부가 징계하겠다고 나선 상황과 묘한 대조를 이룬다.
한국교원대 대학원 박사학위 과정을 밟고 있는 학생 ㅇ씨는 25일 <한겨레>에 “김명수 명예교수의 3시간짜리 강의를 들었는데, 매주 1시간30분씩만 수업했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이번 학기 교원대에서 ‘교육의 행정적 기초’라는 3학점짜리 강의를 맡았다. 매주 수요일 오후 6시~9시까지 세 시간 강의였는데, 김 후보자는 첫 수업부터 마지막까지 절반만 강의했다. ㅇ씨는 “김 교수가 학생들한테 ‘어디 가서 한시간 반만 수업한다는 얘기는 하지 말라’고 당부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반토막 강의뿐만 아니라, 조기 종강도 문제가 되고 있다. 윤관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김 후보자가 6월11일로 정해진 이 과목 종강일을 5월28일로 앞당겼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학생들한테 인사청문회 준비로 바빠 일찍 종강한다고 설명했다고 한다.
김 후보자는 반토막 강의마저 매우 부실하게 운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ㅇ씨는 “수업시간의 많은 부분을 아들 얘기와 개인사 따위로 채웠다. 심지어 학생들의 생각은 고려하지 않고 ‘박근혜 대통령 찬양’에 가까운 발언을 해 불쾌한 적이 많았다”고 말했다. 이어 “멀리 지방에서 와서 지금 뭘 듣고 있나 싶은 적이 많았는데, 차라리 일찍 종강해서 좋다”며 씁쓸해했다. 김 후보자는 <한겨레>의 확인 전화를 받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교원대 대학원 행정실 관계자는 “15주간 총 45시간 강의를 해야 하고, 수업을 못했을 땐 보강 처리를 해야 한다. 이런 경우가 별로 없었기 때문에 학사규정상 어떤 조처를 취해야 하는지는 확인을 해봐야 알겠다”고 말했다. 교육부의 청문회 준비 담당자는 “반토막 수업은 후보자에게 물어봐야 하고, 종강을 앞당긴 것은 학생들과 협의를 통해 결정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앞서 나승일 교육부 차관은 다음달 3일로 예정된 전교조 교사들의 조퇴투쟁에 대해 “학생 학습권 침해가 우려되는 만큼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지시했다. 전교조가 수업을 조정해 학생들의 학습권 침해는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지만 받아들이지 않았다.
김 후보자는 ‘강의 떼먹기’말고도 교원대 부설 교육연구원, 한국교육행정학회, 한국교육학회 등 자신이 몸담았던 3곳의 연구윤리 규정을 어긴 것으로 드러났다. 3곳의 윤리규정을 적용하면 지금까지 제기된 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이중게재, 논문저자 부당 표시만으로도 경고, 해당 논문 취소, 회원자격 정지, 관계기관 통보 등 ‘중징계’ 대상이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