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낮 서울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집회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맨 앞줄 왼쪽), 길원옥 할머니와 참가자들이 일본에 집단적 자위권 행사 시도의 중단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일본 아베 정부가 ‘전쟁할 수 있는 국가’로 나아가는 ‘해석 개헌’을 단행하자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등 시민사회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정대협은 2일 서울 종로구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133차 수요집회에서 “일본 정부는 집단적 자위권 행사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위안부 강제 동원을 인정한) 고노 담화를 정치적 타협물로 평가 절하하고 있다”며 일본 정부를 규탄했다.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는 “전범국 일본이 아시아·태평양 민중의 피를 먹고 만들어진 평화헌법의 해석을 마음대로 고쳐 전쟁 준비를 하고 있다. 더 큰 목소리를 내지 않으면 과거의 아픔을 다시 겪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120여개 단체들로 구성된 단군민족평화통일협의회도 같은 곳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 정부를 규탄했다. 임우철 독립유공자협회 회장은 “일본은 역사 왜곡도 모자라 침탈의 야욕을 드러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