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레이션 김대중 mayseoul@naver.com
[토요판] 커버스토리
국가책임 물으며 배상소송에 나선
기지촌 여성 출신 할머니의 증언
국가책임 물으며 배상소송에 나선
기지촌 여성 출신 할머니의 증언
미군 기지촌 여성들이 지난달 25일 국가를 상대로 손해 배상 소송을 시작했다. 국가가 미군 기지촌의 형성을 사실상 계획하고 관리한 증거들이 나오고 있고, 기지촌 여성들이 미군에 성폭력을 당할 때 국가가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은 것에 책임을 지라는 소송이다. 인신매매되어 기지촌으로 오게 된 어린 여자아이들이 기지촌을 탈출하려고 경찰을 찾아가도 국가는 도움을 주지 않았다고 이들은 증언한다. 또 국가는 ‘미군에 서비스를 잘해야 나라가 잘살게 된다’는 정신교육도 정기적으로 진행했다는 증언도 나온다. 기지촌 여성들은 스스로를 ‘미군 위안부’로 부른다. 실제로 1990년대 초까지 정부와 언론은 이들을 위안부 여성이라고 불렀다. 그 뒤 우리 사회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본격적으로 제기되면서 위안부라는 용어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에 국한해 사용되고 있다. 앞으로 미군 기지촌 여성을 무엇이라 부를지에 대해서도 사회적 합의가 필요해 보인다. 30여년간 기지촌 여성으로 살아온 김정자(가명)씨가 최근 <한겨레>와 만나 기지촌에서 있었던 여러 국가 폭력의 경험을 증언했다.
허재현 기자 catalu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