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충재 도시건설청장 밝혀
상업건물에 청사 포위 우려
정부기관 추가이전도 염두
상업건물에 청사 포위 우려
정부기관 추가이전도 염두
정부세종청사 한가운데 자리잡은 대규모 상업 용지의 매각이 전면 보류됐다. 이들 터가 갖는 중요성을 고려해 정부가 용도를 좀더 신중히 검토하기로 한 것이다. 애초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정부청사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청사 터 한가운데에 4만평의 상업 용지를 지정한 바 있다.
18일 이충재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은 “세종청사 부지 중심과 주변에 있는 있는 13만2421㎡(4만127평)의 상업 용지의 매각을 당분간 유보한다. 상업 용지를 포함한 청사 중심·주변 부지의 용도는 시간을 두고 천천히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세종청사는 올해 말 완공되지만, 세종청사 중심부의 상업 용지와 공원 용지, 하천 용지 등 23만644㎡(6만9892평)는 당분간 주차장과 녹지 등으로 남게 된다.
정부세종청사에는 올해 말까지 새만금개발청을 포함해 20개 실·위·부·처·청이 들어설 예정이며, 현재 16개 기관이 입주해 있다. 이들 부처들이 집중적으로 들어선 세종시 어진동의 12개 블록의 한가운데 10만7576㎡(3만2598평), 남쪽에 2만4845㎡(7528평) 등 13만2421㎡의 상업 용지가 지정돼 있었다. 정부세종청사 일대에 활기를 불어넣고 야간 공동화를 막기 위해 이른바 ‘복합 용도’로 계획한 것이다. 그런데 막상 17개 정부 기관이 사용하는 주청사를 다 짓고 보니 이 청사 중심부의 터를 상업 용지로 매각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의문에 제기된 것이다.
먼저 이들 핵심 터를 상업 용지로 매각할 경우, 세종시의 가장 중요한 랜드마크인 주청사가 들러리가 될 우려가 있다. 주청사는 4~7층으로 최고 높이가 34m 정도다. 김상석 행정도시청 도시발전정책과장은 “상업 건물들이 청사 지역의 중심부를 차지하는 것은 이 지역의 성격과 맞지 않는다. 상업 지역은 청사 남쪽에 집중 개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행정도시청은 지난 2012년 6월과 12월 두 차례 걸쳐 이 지역 상업 용지 19필지 13만5526㎡(4만1068평)를 사들이기도 했다.
상업 용지를 포함한 세종청사의 중심 부지는 앞으로 국회나 다른 정부 기관들이 추가로 이전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상업 용도인 세종청사 중심의 2개 블록 넓이는 9만7322㎡(2만9491평)에 이르러 전체 9만㎡ 정도인 국회의 본관, 의원회관, 도서관이 모두 들어가고도 남는다. 또 아직 이전하지 않은 안전행정부, 미래창조과학부, 여성가족부 등도 모두 수용할 수 있다.
이 터의 미래에 대해 전문가와 관계자들의 의견은 다양하다. 조명래 단국대 교수는 “애초에 혼합 용도를 계획한 것이니 상업 용지로 매각하되 높이나 용적률 등을 청사와 어울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강현수 충남발전연구원장도 “과거 과천처럼 권위주의적인 청사보다는 청사와 상업 시설이 적절히 어울리는 것이 좋다. 다만 상업 시설에도 높은 수준의 디자인을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세종시 계획·건설의 초기 책임자였던 이춘희 세종시장은 “이 터의 위치가 특별하기 때문에 정부가 확보해 뒀다가 앞으로 정부 기관이 추가 이전할 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터가 넓으니 공무원이나 주민들이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일부를 상업 용지로 사용하는 것도 괜찮아 보인다”고 말했다. 세종/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