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전사 2명 사망…1명 입원
1시간 넘게 두건 씌워 질식
1시간 넘게 두건 씌워 질식
특수부대원이 포로 체험 훈련을 하다 부사관 2명이 의식을 잃고 쓰러진 뒤 숨지고 1명이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다. 군의 ‘안전 불감증’이 또 드러났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특히 포로 체험 훈련은 처음 도입된 훈련인데다 장시간 두건을 머리에 씌우고 진행하는 극기훈련이었는데도 질식사 위험 등에 대한 대비에 소홀했다는 지적이다.
군 당국자는 3일 “지난 2일 밤 10시30분에서 40분 사이에 충북 증평의 제13공수특전여단 예하부대에서 이아무개(23)·조아무개(21) 하사가 특수전 훈련을 하다 의식을 잃고 쓰러져 인근 청주의 민간병원에 옮겨졌으나 숨졌다”며 “의료진은 사인을 질식사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또 전아무개(23) 하사도 같은 훈련 도중 의식을 잃고 쓰러졌으나 병원에 이송된 뒤 의식을 회복했다. 군 당국자는 “전 하사는 현재 신장 기능 저하 증세를 보이고 있으며 생명에는 지장이 없다고 한다”고 말했다. 숨진 이 하사와 조 하사의 시신은 국군 대전병원으로 옮겨졌으며, 전 하사도 국군 대전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당시 이들은 적군에 포로로 잡힌 상황을 가정한 극기훈련을 하고 있었다. 군 당국자는 “사고 당시 모두 24명의 훈련 참여자 가운데 10명을 대상으로 포로 체험 훈련이 실시됐다”며 “밤 9시부터 이들 10명의 머리에 두건을 씌우고 양팔을 뒤로 해서 발과 함께 결박당한 채 무릎을 꿇린 상태로 고독감과 공포심을 이겨내는 극기훈련을 하던 중 사고가 났다”고 말했다.
훈련 1시간30분~40분 뒤 당시 대항군 역할을 했던 훈련병들과 교관들이 전 하사가 수감된 독방에서 “살려달라”는 소리가 나 가보니 전 하사의 의식이 혼미한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자는 “이들이 전 하사를 병원에 후송한 뒤 혹시 하는 마음에 다른 훈련병들의 상태를 점검하다 이 하사와 조 하사가 의식을 잃고 쓰러진 것을 발견해 병원으로 후송했다”고 말했다. 이 하사는 11시15분, 조 하사는 11시24분 사망이 확인됐다.
이날 훈련은 이번에 처음 도입됐고, 군내에는 이 훈련 유경험자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군 당국이 경험도 없는 극한상황을 상정한 훈련에 앞서 철저히 위험요인을 예측하고 대비했는지는 의문이다. 군 당국자는 “훈련 중에 ‘힘들다, 못하겠다’는 불만이 나왔다고 한다. 그러나 지휘관들과 교관들은 실전 훈련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고통 정도로 인식한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 목숨을 건 위험한 훈련이라는 점에서 병사들의 훈련 적응 상태를 봐가며 점차 강도를 높였어야 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박병수 선임기자, 대전/오윤주 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