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년 동안 법조비리 사건 수가 3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이상민 위원장(새정치민주연합)이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아 13일 공개한 ‘4대 중점 척결대상 비리범죄’(법조·토착·공기업 및 정부투자기관·고위공직자) 통계를 보면, 법조비리 발생 건수는 2011년 235건에서 지난해 299건으로 27.2% 증가했다. 올해는 8월까지 143건이 적발됐다.
법조비리 사건 피의자 구속률은 떨어졌다. 2011년 법조비리 구속자는 80명으로 구속률은 34%였는데 지난해에는 28.4%(85명)로 낮아졌다. 이는 다른 중점 비리 사건의 구속률과 견줘도 상당히 낮은 수치다. 지난해 적발자 대비 구속률은 고위공직자 비리 54.5%, 공기업 비리 42.1%, 토착비리 37.2% 순이었다.
‘4대 비리’ 가운데 법조비리가 차지하는 비율도 늘어나는 추세다. 2011년 전체 ‘4대 비리’ 777건 중 법조비리 비율은 30.2%였지만, 지난해에는 전체 760건 중 법조비리 몫은 39.3%에 달했다. 이상민 의원은 “법조비리 구속률이 떨어지는 것은 정부의 척결 의지가 미약하다는 증거”라며 “법조계의 제 식구 감싸기가 아니냐”고 지적했다.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