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등 정부 관계자와 민간 전문가 23명 참여
실종자 가족들과 소통 협의회 구성해 의견 수렴
실종자 가족들과 소통 협의회 구성해 의견 수렴
해양수산부는 세월호 실종자의 수중 수색이 끝남에 따라, 선체 인양과 관련해 검토할 ‘세월호 선체 처리 관련 태스크포스’를 를 24일 구성했으며, 오는 27일 1차 회의를 시작으로 본격 가동한다고 밝혔다.
세월호 선체 처리 태스크포스의 단장은 해수부의 박준권 항만국장이 맡았으며, 정부 관계자와 민간 전문가 등 23명이 참여해 기술 검토팀과 지원팀에서 활동한다. 기술 검토팀은 서울대 이규열 교수를 팀장으로 학계와 해양업계, 연구기관 등 민간 전문가들로, 지원팀은 기술 검토팀의 원활한 업무 수행을 지원하는 해수부, 국민안전처, 해군 등 관리들로 이뤄졌다.
기술 검토팀은 세월호 선체 처리에 대한 검토 과정에서 국내외 인양 관련 업체나 수중 수색 참여 잠수사, 분야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는다. 또 사고 해역의 수심·조류 속도·지질 조건 등의 물리적 특성 조사, 선체 상태 탐사, 국내외 사례 조사·분석, 현장 조사 등을 바탕으로 인양과 실종자 추가 수습 가능성도 검토한다.
특히 해양수산부는 실종자 가족과의 소통 협의회를 열어 실종자 가족들에게 기술 검토팀의 활동 과정과 정보를 제공하고 실종자 가족들의 의견을 들을 계획이다. 또 실종자 가족들이 전문가를 추천하면, 의견을 듣고 세부 내용에 대해서도 협의하기로 했다. 이 태스크포스의 검토 결과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제출돼 세월호 인양 여부 등 선체 처리에 대한 결정에 활용될 예정이다.
앞서 이주영 해수부 장관은 지난 11일 수중 수색 종료를 발표하면서 세월호의 인양 등 선체 처리에 관해서는 해역 여건과 선체 상태를 검토하고 실종자 가족과 전문가들의 의견 듣는 공론화 과정을 거쳐 적절한 시점에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