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북청년단 재건위원회 회원들이 28일 오후 서울 중구 수표동 서울청소년수련관에서 총회를 강행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수련관 측 행사 불허했지만…예고 대로 진행
대관 취소에 재건위 회원들, 직원들과 몸싸움도
행사 막아선 직원에 “종북세력들의 방해” 막말
대관 취소에 재건위 회원들, 직원들과 몸싸움도
행사 막아선 직원에 “종북세력들의 방해” 막말
서울광장에 설치된 세월호 참사 추모 리본을 훼손해 물의를 빚었던 ‘서북청년단 재건준비위원회’(서북청년단 재건위)가 28일 애초 예고한 대로 서울 중구 을지로3가 서울청소년수련관에서 회원 50여명이 모여 재건총회를 열었다. 수련관 쪽에서 내부 규정을 들어 행사 하루 전날 이를 불허하면서 행사 장소는 예고한 수련관 3층 강당이 아닌 1층 카페테리아가 됐다.
서북청년단 재건위 관계자들은 이날 행사 시작 한 시간 전인 오후 1시께부터 수련관을 찾아와 수련관 관계자들과 충돌했다. 수련관 쪽은 3층 강당 문을 걸어 잠근 채 입구에 ‘서북청년단에서 창립총회 행사로 신청한 대관이 취소됐다. 적극 협조해달라’는 내용의 안내문을 써붙였다. 정진문 서울청소년수련관 총괄부장은 “규정에 따라 대관을 취소했으니 돌아가달라”고 했고, 정함철 서북청년단 재건위 대변인은 “행사 하루 전 취소하는 게 말이 되느냐”며 맞섰다. 수련관 3층 강당 입구에서 십여분 간 실랑이를 벌이던 이들은 결국 1층으로 내려왔다.
행사 시간이 되어 회원들이 몰려들자 서북청년단 재건위 쪽은 수련관에서 운영하는 1층 카페테리아의 테이블과 의자를 치우고 행사를 강행했다. 수련관 쪽 직원이 막아섰지만 역부족이었다. 잠시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지만 충돌을 우려한 경찰이 나서 더 큰 폭력상황으로 번지진 않았다. 서울 중부경찰서는 이날 수련관 쪽의 시설보호요청을 받고 80여명 경찰기동대를 현장에 배치했다. 서북청년단 회원들은 행사 진행을 막아선 수련관 직원에게 큰 소리로 “박원순이 시켰냐”, “간첩 아니냐”, “특수부대 맛을 봐야겠다”라고 고함을 지르기도 했다.
오후 2시10분께 시작된 ‘재건총회’에서 이들은 애초 예고한대로 과거 서북청년회의 중앙집행위원이었던 손진(95)씨를 총재로 선임하고, 장경순 전 국회부의장, 김동길 연세대 명예교수 등을 고문으로 위촉했다. 재건위 대변인 정함철(41)씨는 ‘구국결사대장’이 됐다.
이들은 “종북좌익의 반역으로 누란의 위기에 처한 우리의 조국, 대한민국을 구하기 위해 서북청년단이 분연히 일어섰다”며 “복고적이 아닌, 오늘의 상황에 맞는 행동양식과 전략으로 국민과 함께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고 적화통일을 분쇄하는 구국운동을 펼칠 것”이라고 밝혔다.
수련관 쪽은 전날 “실무 담당자가 ‘서울 서북지역 청소년단체’ 정도로 알고 허가를 내줬다. 규정상 어쩔 수 없다”며 행사 불허를 통보하고 지하철 2호선 신당역 인근에 대체 장소를 마련해줬다. 하지만 서북청년단 재건위 쪽은 “이곳을 대관한 동성애 단체의 행사는 수련관 설립 취지에 부합하는 것이냐. 하루 전에야 불허한 것은 종북세력들의 방해공작”이라며 행사 강행 의지를 밝혔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서북청년단 재건위원회 회원들이 총회를 강행한 28일 오후 서울 중구 수표동 서울청소년수련관에 수련관 대관을 불허한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서북청년단 재건위원회 회원들이 28일 오후 서울 중구 수표동 서울청소년수련관에서 재건 총회를 열려고 하자 수련원 측이 행사 불가 통보 안내를 하고 있다. 이에 총회를 제지하려는 수련관 직원들과 서북청년단이 몸싸움을 하는 등 실갱이를 벌였다. 서울청소년수련관은 규정상의 이유로 장소 대관에 대해 불허 통보했으나 서북청년단 재건위는 이를 항의하며 총회를 강행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서북청년단 재건위원회 회원들이 28일 오후 서울 중구 수표동 서울청소년수련관에서 재건 총회를 열려고 하자 수련원 측이 행사 불가 통보 안내문을 붙여 놓고 있다. 이에 총회를 제지하려는 수련관 직원들과 서북청년단이 몸싸움을 하는 등 실갱이가 벌어지기도 했다. 서울청소년수련관은 규정상의 이유로 장소 대관에 대해 불허 통보했으나 서북청년단 재건위는 이를 항의하며 총회를 강행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