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오후 서울 강서구 국토해양부 철도 항공사고조사위원회에서 조현아 대한항공 전 부사장이 출석하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국토교통부가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에 의한 대한항공기 회항(램프 리턴) 사건에 대해 제대로 조사하지 못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15일 국토부는 “대한항공 박창진 사무장에 대한 보강 조사를 오늘 오전 10시에 서울 김포공항의 국토부 항공안전감독관실에서 하려 했으나, 박 사무장이 출석하지 않아 조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권용복 항공안전정책관은 “박 사무장이 조 전 부사장의 폭언과 폭행 등에 대해 국토부 조사 때와 검찰 조사 때 서로 다른 이야기를 했다. 왜 그랬는지 조사하려 했으나, 박 사무장과 연락이 닿지 않았다”고 밝혔다.
박 사무장이 국토부 조사에 응하지 않은 것은 국토부에도 잘못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 사무장은 최근 <한국방송>과 한 인터뷰에서 “(회사 쪽에서) ‘국토부의 조사 담당자들이 대한항공 출신이라 회사 측과 짜고 치는 고스톱’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국토부 조사에서 솔직히 이야기해도 소용없다는 식으로 박 사무장을 회유, 협박한 셈이다. 박 사무장이 당시 인터뷰에서 밝힌 내용을 국토부 조사에서 진술하지 않은 이유를 미뤄볼 수 있다.
실제로 이번 사건 조사에 참여한 국토부 조사관 6명 가운데 항공안전감독관 2명이 모두 대한항공 출신이다. 한 사람은 2002년, 다른 사람은 2011년 대한항공을 그만뒀고, 현재 국토부에 계약직(전문직) 공무원으로 일하고 있다. 이들의 현재 신분이 공무원이라고 해도 박 사무장으로서는 솔직한 진술을 하는 데 부담을 느꼈을 수 있다. 더욱이 다른 항공사 출신 감독관들도 있는데, 굳이 대한항공 출신자를 투입한 점은 의심을 피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권용복 정책관은 “객실과 운항 감독관을 1명씩 투입했는데, 객실 감독관은 모두 대한항공 출신이고, 운항 감독관 중에는 아시아나 출신이 있지만, 경력이 짧아 투입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세종/김규원 기자
ch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