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콩 리턴’ 파문을 일으킨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12일 오후 서울시 강서구 방화동 국토부 항공철도 사고조사위원회 항공안전감독관실로 출두하며 사과문을 발표하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국토교통부가 지난 5일 조현아 대한항공 전 부사장에 의한 ‘땅콩 회항’ 사건과 관련해 납득하기 어려운 조사 행태를 반복해 불신과 거짓말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
지난 16일 오전 브리핑 때 국토부는 “박창진 (대한항공) 사무장을 조사할 때 대한항공 임원들은 밖에 있었다”고 밝혔다. 박 사무장을 조사할 때 대한항공 임원들이 함께 있었다는 의혹에 대한 해명이었다. 이런 해명은 불과 한나절 만에 거짓으로 드러났다. 국토부 브리핑 직후 시민단체인 참여연대가 “국토부가 박 사무장을 조사할 때 객실 담당 여아무개 상무가 함께 있어서 박 사무장이 제대로 진술할 수 없었다”고 구체적 이름과 상황을 폭로했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부랴부랴 재확인에 나섰고, 이날 오후 6시께 당시 녹음된 내용을 통해 대한항공 임원이 박 사무장 조사 때 동석했음을 확인했다고 밝혀 빈축을 샀다. 국토부의 이광희 운항안전과장은 “8일 박 사무장을 조사할 때 대한항공의 한 임원이 19분 동안 동석했다. 나중에 조사관들이 그 임원에게 자리를 비켜 달라고 요구해 그 임원이 사무실 밖으로 나갔다”고 털어놓았다.
박 사무장이 대한항공의 임원과 함께 앉아서 조사를 받았다면 5일 램프 복귀 상황을 제대로 진술하기는 거의 불가능했을 것으로 보인다. 박 사무장이 나중에 <한국방송>과 한 인터뷰 내용을 보면, 당시 대한항공 임직원들은 조 전 부사장이 잘못한 일이 없었다고 진술하라고 박 사무장을 회유, 압박하던 상황이었다.
이미 알려졌듯이 국토부의 항공안전감독관 16명 가운데 14명이 대한항공에서 일한 경력이 있는 것으로 파악돼 있다. 대한항공도 이런 점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박 사무장에게 “국토부의 조사 담당자들이 대한항공 출신이라 (조사는) 회사 측과 짜고 치는 고스톱”이라고 말할 수 있었던 것이다.
국토부가 16일 브리핑 때까지도 “대한항공이 결정적인 목격자인 1등석 승객과 다른 승객들의 명단과 연락번호를 넘겨주지 않아 조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한 것도 결과적으로 거짓이었다. <한겨레>의 확인 결과, 대한항공은 이미 15일에 이메일을 이용해 국토부의 한 조사관에게 1등석 승객을 포함한 14명의 승객 명단과 연락번호를 보낸 상태였다. 대한항공이 승객 명단을 넘겨주지 않아 조사를 제대로 할 수 없다고 해명해온 국토부가 정작 명단을 받은 뒤 확인도 하지 않은 것이다. 국토부의 조사 의지를 의심하게 하는 대목이다.
세종/김규원 기자
ch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