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북한 소행 배제안해”
한국수력원자력 원전 도면 등의 유출 사건을 수사하는 개인정보범죄 정부합동수사단(단장 이정수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2부장)은 유출 용의자가 중국 선양 지역 아이피를 이용해 국내에 접속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북한과 가까운 선양은 북쪽 정보기관 요원들이 많이 활동하는 곳이다. 황교안 법무부 장관도 “북한 소행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합수단은 용의자가 인터넷에 글을 올릴 때 아이피 추적을 피하려고 사용한 국내 가상사설망(VPN) 서비스 업체 3곳을 압수수색해, 처음 자료 유출이 발생한 15일 선양 지역 아이피 20~30개가 포털사이트에 200여차례 접속한 사실을 확인했다. 하지만 선양이 최초 접속지인지, 우회용 중간 접속지인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합수단 관계자는 “선양이 최초 접속지인지는 현지에서 확인을 해봐야 알 수 있다. 중국 공안에 협조를 요청하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북한과의 관련성 여부에 대해서는 “단정할 수도 부인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아이피 추적을 계속하기 위해 중국 정부의 협조를 기다려야 하는데다, 범행에 쓰인 인터넷 아이디·은행계좌·인적사항 등은 모두 도용당한 것으로 확인돼 용의자 신원 확인은 답보 상태다. 용의자는 가상의 아이피 주소를 제공하는 브이피엔 서비스에 가입할 때도 다른 사람 명의를 도용하고, ‘대포 통장’을 이용해 비용을 치른 것으로 조사됐다. 인터넷 블로그에 원전 반대 글을 올리거나 유출한 자료를 공개하는 데 사용한 아이디들도 모두 제3자 것을 훔쳐 썼다. 이처럼 수사가 난항을 겪는 가운데, 용의자가 고리 1·3호기와 월성 2호기 등 원전 3개의 가동을 중단하라고 요구한 성탄절이 다가와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
황교안 장관은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번 사건이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이 있느냐”는 새누리당 김도읍 의원의 질문에 “그런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답변했다.
정환봉 황준범 기자 bon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