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대공원 정비안에 포함시켜
운영사가 사업권 사달라 요청땐
협약상 시가 최대 500억에 사야
시민단체 “주민감사 청구” 반발
운영사가 사업권 사달라 요청땐
협약상 시가 최대 500억에 사야
시민단체 “주민감사 청구” 반발
부산시가 부산 부산진구 초읍동 어린이대공원 안에 있는 동물원의 터 확장 방안을 어린이대공원 정비계획안에 포함시켰다. 부산시는 필요하면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동물원을 운영하는 민간사업자한테 특혜를 주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부산시는 6일 “2020년까지 어린이대공원 터 498만㎡ 가운데 20만㎡를 3단계로 나눠 추가 개발하는 어린이대공원 정비계획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부산시 계획안을 보면, 내년까지 시비 6억3000만원을 들여 어린이대공원 들머리 광장과 화장실을 확장한다. 이어 2018년까지 낡아서 방치된 놀이시설과 산림목장 등을 시비 56억원을 들여 새로 설치하거나 보수한다. 또 2020년까지 민간자본 179억원을 들여 부산학생문화회관~동물원~놀이시설을 오가는 리프트와 동물원 ‘더파크’를 10만㎡ 더 넓힌다. 현재 8만5000㎡인 동물원 면적이 18만5000㎡로 2배 이상 넓어지는 것이다.
부산시는 다음달 최종 용역보고서가 나오면 부산시 도시공원위원회로 어린이대공원 정비계획안을 넘겨 확정하고, 시비가 들어가는 1·2단계 사업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동물원을 확장하는 3단계는 사회적 공감대가 이뤄지거나 현재 동물원을 운영하는 민간사업자가 적자 누적으로 매수를 요청하면 추진하겠다는 태도다.
부산에서 유일한 동물원인 ‘더파크’는 지난해 4월 개장해 현재 120여종 1200여마리 동물이 살고 있다. 이 동물원은 시행·시공사의 자금난 등으로 여러 차례 공사가 중단됐으나, 향토 건설사인 삼정기업이 시공사로 참여해 10년 만에 완공했다. 부산시는 삼정기업을 시공사로 끌어들이기 위해 동물원 준공일로부터 3년 안에 운영권자인 삼정기업이 매수를 요청하면 감정평가를 통해 많게는 500억원에 사업권을 사들이는 협약을 체결했다.
일부에선 동물원 추가 확장을 반대하고 있다.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성명을 내어 “더파크 사업은 주차장·대중교통 불편, 면적 협소 등 동물원으로 부적절했는데도 부산시가 밀어붙였다. 이제 동물원 수익과 운영은 운영사가 책임져야 한다. 동물원 면적을 더 늘려주는 특혜를 제공하면 주민감사청구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부산시 관계자는 “일부 시의원이 동물원이 비좁다고 지적한데다, 동물보호단체도 좁은 우리에 동물을 가둬 학대한다고 항의했다. 이 때문에 터 확보 방안을 어린이대공원 정비계획안에 넣었다. 당장 추진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