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물질, 기준치 이하 검출”
부산 상수도사업본부, 홍보 총력
부산 상수도사업본부, 홍보 총력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가 바닷물을 정수 처리한 수돗물의 안전성 확인을 위해 관공서에 먼저 이 물을 공급하기로 했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29일 “부산 기장군 해수 담수화 시설에서 생산하는 수돗물을 다음달부터 부산시청 등 부산지역 관공서에 공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해수 담수화 수돗물은 표면에 ‘기장 해수 담수화 수돗물’이라고 적힌 350㎖들이 페트병에 담겨 공급된다. 세슘과 요오드 등 방사성 물질은 자연 상태에서도 검출되는 최소 한계치 이하로 나왔다는 사실도 밝힐 예정이다.
앞서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해수 담수화 수돗물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수질 검사를 맡겨, 지난해 말 삼중수소 등 방사성 물질이 최소 검출 한계치 이하로 나왔다는 답변을 얻었다.
하지만 기장군 일부 주민들은 해수 담수화 수돗물을 꺼리고 있다. 해수 담수화 시설이 고리원전으로부터 불과 11㎞가량 떨어져 있는데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뒤 불안감이 가시지 않았기 때문이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1954억원을 들여 기장군 대변항 근처 바닷가에 하루 4만5000t의 먹는 물을 생산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역삼투막식 해수 담수화 시설을 완공했다. 이 시설은 330~400m 떨어진 곳의 수심 10~15m 깊이 바닷물을 끌어들여 해조류와 염분을 걸러낸 뒤 칼슘 등 무기질 성분을 넣어 수돗물을 만든다. 애초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지난달부터 기장군 5만여가구 가운데 정관새도시와 철마면을 뺀 3만여가구에 이 수돗물을 공급하기로 했으나, 반감기가 12.5년인 삼중수소 논란이 불거지자 공급 시기를 늦췄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