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포스코건설 수사 어디로
검찰이 비자금 조성 의혹을 받고 있는 포스코건설 압수수색에 들어가면서 수사의 칼끝이 어디로 향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민영기업이면서도 오너(대주주)가 없는 소유구조 특성상 포스코는 정권의 움직임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데, 전 정권 시절에도 이상득 전 의원과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2차관 등 실세들이 각종 이권과 인사에 개입한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 조상준)는 13일 인천 송도 포스코건설 사옥과 임원 2명의 주거지 등에 검사 5명을 포함해 40여명의 수사팀을 보내 압수수색을 벌이고, 회계장부를 비롯한 각종 서류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압수했다. 알려진 혐의는 해외 건설현장에서의 비자금 조성이다. 포스코건설은 2009~2012년 하노이·호찌민 등 베트남 주요 도시에서 10여개 공사를 진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임원이 현지 하도급업체와의 계약 금액을 부풀리는 방식으로 100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것이다.
검찰 수사는 비자금 사용처 규명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포스코건설뿐 아니라 포스코그룹 차원의 비자금 형성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서는 박 전 차관과 가까운 포항 지역 기업인이 2009년 정준양(67) 회장 선임에 깊숙이 관여한 뒤 포스코 쪽 납품액이 크게 늘어났고, 여기에 계열사 사장을 지낸 ㅈ씨가 큰 구실을 했다는,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던 의혹도 수사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2009~2012년 베트남 10여곳 공사
현지업체와 계약금 부풀린 혐의
포스코P&S 탈세 의혹도 수사
그룹전반 비리·로비 표적 될수도 검찰 수사는 포스코그룹 계열사의 자금흐름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높다. 특수2부는 앞서 포스코피앤에스(P&S)의 탈세 의혹 사건도 지난 2월 재배당받아 수사하고 있다. 국세청은 2013년 세무조사를 통해 포스코가 철강 가공품을 생산하는 포스코피앤에스와 거래하는 과정에서 1300억원대 세금을 포탈한 혐의를 확인하고 검찰에 고발한 바 있다. 포스코가 철강거래 중간유통 과정에 계열사를 끼워넣어 매출을 늘려준 의혹도 함께 고발됐다. 계열사 간 자금흐름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당시 포스코그룹 경영진의 업무상 횡령 혐의로도 수사가 번질 가능성이 높다. 하청업체 납품 과정에서 가격을 높게 매겨주거나 특정 업체를 경유해 비자금을 조성하는 것은 유력자를 합법적으로 밀어주는 대기업들의 일반적인 행태 중 하나다. 이런 가운데 주목되는 인물이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이다. 정씨는 2008년 12월 포스코건설 사장으로 발령난 지 3개월 만인 2009년 2월 포스코 회장에 선임돼 2014년 3월까지 재임했다. 이 과정에서 박영준 전 차관의 ‘면접’을 본 사실이 언론에 크게 보도됐고, 이명박 대통령의 의중에 따라 경쟁자를 제치고 회장 자리에 낙점받았다고 알려졌다. 특히 검찰 수사의 본류가 포스코건설을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도 검찰 안팎에서 나온다. 앞서 정 전 회장은 2010년 3월 부도 직전의 성진지오텍 지분 40.38%를 1593억원이라는 비싼 값에 인수하고 대우인터내셔널을 인수합병하는 등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포스코의 재무구조를 악화시켰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런 인수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의 실세가 개입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검찰은 정 전 회장을 중심으로 한 리베이트 구조에 대해 수사를 벌여왔지만, 내사 단계에서 포스코 수사를 종료했던 바 있다. 정권이 바뀐 지금, 정 전 회장에 대한 수사가 전 정권 주요 인사들에 대한 수사로 번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이유다. 정환봉 최종훈 기자 bonge@hani.co.kr
현지업체와 계약금 부풀린 혐의
포스코P&S 탈세 의혹도 수사
그룹전반 비리·로비 표적 될수도 검찰 수사는 포스코그룹 계열사의 자금흐름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높다. 특수2부는 앞서 포스코피앤에스(P&S)의 탈세 의혹 사건도 지난 2월 재배당받아 수사하고 있다. 국세청은 2013년 세무조사를 통해 포스코가 철강 가공품을 생산하는 포스코피앤에스와 거래하는 과정에서 1300억원대 세금을 포탈한 혐의를 확인하고 검찰에 고발한 바 있다. 포스코가 철강거래 중간유통 과정에 계열사를 끼워넣어 매출을 늘려준 의혹도 함께 고발됐다. 계열사 간 자금흐름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당시 포스코그룹 경영진의 업무상 횡령 혐의로도 수사가 번질 가능성이 높다. 하청업체 납품 과정에서 가격을 높게 매겨주거나 특정 업체를 경유해 비자금을 조성하는 것은 유력자를 합법적으로 밀어주는 대기업들의 일반적인 행태 중 하나다. 이런 가운데 주목되는 인물이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이다. 정씨는 2008년 12월 포스코건설 사장으로 발령난 지 3개월 만인 2009년 2월 포스코 회장에 선임돼 2014년 3월까지 재임했다. 이 과정에서 박영준 전 차관의 ‘면접’을 본 사실이 언론에 크게 보도됐고, 이명박 대통령의 의중에 따라 경쟁자를 제치고 회장 자리에 낙점받았다고 알려졌다. 특히 검찰 수사의 본류가 포스코건설을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도 검찰 안팎에서 나온다. 앞서 정 전 회장은 2010년 3월 부도 직전의 성진지오텍 지분 40.38%를 1593억원이라는 비싼 값에 인수하고 대우인터내셔널을 인수합병하는 등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포스코의 재무구조를 악화시켰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런 인수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의 실세가 개입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검찰은 정 전 회장을 중심으로 한 리베이트 구조에 대해 수사를 벌여왔지만, 내사 단계에서 포스코 수사를 종료했던 바 있다. 정권이 바뀐 지금, 정 전 회장에 대한 수사가 전 정권 주요 인사들에 대한 수사로 번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이유다. 정환봉 최종훈 기자 bon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