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민간, 수백억∼수천억 지원
자기부상열차·한국형 고속열차·치매 치료약물 등이, 정부와 민간이 수백억~수천억원을 지원하는 ‘국가 대형 연구개발 실용화사업’의 예비과제로 선정됐다.
정부는 27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오명 과학기술 부총리 주재로 과학기술 관계부처 장관회의를 열어, 산업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지만 실용화는 늦어지는 연구 성과의 실용화를 집중 지원하기로 하고, 그 예비 검토 과제로 10개를 선정했다.
선정된 과제(괄호 안은 주관 부처와 정부·민간 투입 연구비)는 △자기부상열차(건설교통부, 4년 동안 4500억원) △한국형 고속열차(건교부, 3년 동안 800억원) △저공해 엘피지 버스(환경부, 4년 동안 200억원) △해수담수화용 원자로(과기부, 6년 동안 4388억원) △초고속 해상운송선(해양수산부, 5년 동안 1200억원) △복합 양전자 단층 촬영기(보건복지부, 5년 동안 1799억원) △소형 열병합발전용 가스터빈(산업자원부, 4년 동안 1500억원) △나노공정 반도체 제조장비(산자부, 5년 동안 600억원) △치매 치료약물(‘AAD-2004’·복지부, 3년동안 200억원) △소형항공기(산자부, 5년동안 560억원) 등이다. 황우석 서울대 교수의 ‘광우병 내성 복제소’ 등 9개는 ‘계속검토 과제’로 보류됐다.
정부는 대상 과제의 실용화 지원이 타당한지에 대한 추가 조사를 벌인 뒤, 그 결과를 4월 관계장관 회의에 보고하고 이르면 올해 상반기부터 가능한 과제를 부처별로 추진하기로 했다.
투자재원과 관련해 과기부 정윤 연구개발조정관은 “원칙적으로 과제별 주관부처가 재원을 마련하되 연구개발 예산 배정 때 실용화 사업을 우선 고려하고, ‘과학기술 채권’ 등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중앙·공공기관의 국산 신기술 제품 구매를 늘리고 지진·해일 등 재난 예보를 휴대전화로 국민에게 알리는 등 조기경보시스템의 강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