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성 회장
정점 치닫는 두산그룹 비리 수사
분시회계·이자 대납등
‘위선’ 지시 확인
박지원 상무 내주 소환
검찰이 6일 분식회계 등 비리 의혹을 받고 있는 두산그룹 총수 일가를 모두 출국금지 조처했다. 이어 7일 박용욱 이생그룹 회장을 불러 조사하면서 두산그룹 비리 수사가 종점으로 향하고 있다.
검찰이 박용성 두산그룹 회장이 외국 출장에서 귀국한 날 바로 출국금지 조처한 것은 상징적이다. 서울중앙지검 관계자는 “조사할 필요가 있고 순서가 됐기 때문에 출금했다”며 “박 회장만을 제외하고 피진정인과 피고발인들을 출금할 수도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렇지만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이며,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국제상업회의소(ICC) 회장인 박 회장에 대한 출금 조처는 다소 뜻밖이다. 이는 검찰이 두산그룹 임직원들에 대한 소환 조사와 광범위한 계좌추적을 통해 분식회계와 이자대납 등에 개입한 정황을 상당 부분 포착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7월26일 두산그룹 비리에 대한 수사를 시작한 검찰은 진정·고발 내용 대부분을 확인했다. 총수 일가들에 대한 소환 조사와 형사처벌이 남은 셈이다.
검찰 관계자는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범죄 혐의가 드러나면 원칙에 따라 처리하겠지만 계열사 사장들은 책임자가 아니기 때문에 가담한 정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처벌할 계획”이라며 “기소 여부는 전체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이 “일부는 구속수사할 수 있다”고 해, 총수 일가에서 구속자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현재까지는 박진원 두산인프라코어 상무가 동현엔지니어링에서 비자금을 전달받은 사실과 박용욱씨가 경영하는 ㈜넵스에서 수십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한 것이 드러났다. 그렇지만 박용성 회장의 비자금을 박진원씨가 관리했고, 박용만 부회장은 박용욱씨를 통해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을 받아와 비자금이 이들에게 흘러갔을 가능성도 있다.
검찰 관계자는 그동안 총수 일가의 이자 대납이나 비자금 조성은 모두 확인하고 분식회계에 대한 책임 문제에 수사의 힘을 기울였는데 박용성 회장 쪽이 개입한 물증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분식회계와 이자대납 등에 개입한 사실이 드러나면 박용성 회장이나 박용만 부회장도 형사처벌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실제 검찰은 두산산업개발과 박용성 회장, 박용만 부회장과 연결고리를 파악하려고 두산산업개발 전·현직 사장도 잇따라 불러 조사했다. 검찰 관계자는 이들에 대해 “실무자”라고 표현했다. 이자대납 등이 ‘윗선’의 지시에 따라 그룹 차원에서 이뤄졌다는 것을 내비치는 말이다.
검찰은 계열사 경영진에 대해서는 분식회계와 비자금 조성, 이자 대납 등의 비리에 관여한 정도에 따라 형사처벌 수위를 결정할 계획이다. 비자금을 조성해 총수 일가에 건넸다는 의심을 받고 있는 동현엔지니어링, 넵스, 두산산업개발 등의 전·현직 사장들이 그 대상이다. 황상철 기자 rosebud@hani.co.kr
두산그룹은 ‘폭풍전야’ 박용성 두산그룹 회장이 출국금지를 당하고, 동생인 박용욱 이생그룹 회장이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첫 소환돼 두산그룹이 비상 상황에 빠졌다. 특히 대한상의 회장을 맡고 있는 박용성 그룹회장이 분식회계 개입 혐의 등으로 사법처리될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재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두산그룹은 “아직 수사중인 상황”이라며 사법처리에 애써 거리를 두고 있지만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7일 박용성 회장은 두산타워 사무실로 출근한 데 이어 10일 방한하는 자크 로게 국제올림픽위원장과 면담 일정을 잡는 등 건재를 과시하고 있다. 하지만 검찰 수사는 박 회장을 궁지로 몰고 있어 폭풍 전야의 긴장감이 돈다. 두산그룹 관계자는 “수사중인 내용을 ‘맞다, 아니다’ 거론하기 어렵다”며 “투서 내용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던 기존 태도에서 한발 물러서는 분위기다. 분식회계와 관련해 직접적인 연결고리가 밝혀지면 박 회장이 온전하기는 어렵다. 벌써부터 그럴 경우를 가정해 두산그룹의 비상경영 구도와 대한상의 회장 후임도 재계에서 입에 오르내린다. 박용오 전 회장, 박용만 부회장 등 3세대 대부분이 출국금지 선상에 오르고 검찰 수사 칼끝이 박씨 일가에 정조준 되면서 다함께 물러나는 게 불가피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은행권과 명동 사채시장 등도 검찰 수사의 진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명동 어음중개업체의 한 관계자는 “두산 쪽 회사채 거래는 힘들겠지만 5억원 미만의 소액 어음 할인은 이뤄진다”면서 “검찰 수사가 빨리 진전돼 박씨 일가가 경영에서 손을 떼면 회사는 오히려 투명해지고 좋아지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돌고 있다”고 말했다. 명동 사채시장에선 두산 관계사들의 어음할인율에 큰 변동이 없는 것과 관련해 총수 일가 소환 조사가 회사 정상화 임박 신호로 읽히고 있다는 해석을 내놓기도 한다 한편, 비자금 의혹 등을 검찰에 진정한 박용오 전 회장 쪽은 ‘올 것이 왔다’며 담담해 했다. 박 전 회장의 한 측근은 “검찰이 부르면 당연히 응할 것”이라며 “밝힐 것은 밝힐 것이고 떳떳하지 못한 게 있다면 나름대로 감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측근은 “분식회계 등을 직접적으로 지시한 게 아니라 뒤늦게 알고 그대로 둬선 안 되겠다고 결심한 거니까, 죄의 경중은 다르지 않겠냐”고 덧붙였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박용만 부회장
박용오 전 회장
검찰은 계열사 경영진에 대해서는 분식회계와 비자금 조성, 이자 대납 등의 비리에 관여한 정도에 따라 형사처벌 수위를 결정할 계획이다. 비자금을 조성해 총수 일가에 건넸다는 의심을 받고 있는 동현엔지니어링, 넵스, 두산산업개발 등의 전·현직 사장들이 그 대상이다. 황상철 기자 rosebud@hani.co.kr
두산그룹은 ‘폭풍전야’ 박용성 두산그룹 회장이 출국금지를 당하고, 동생인 박용욱 이생그룹 회장이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첫 소환돼 두산그룹이 비상 상황에 빠졌다. 특히 대한상의 회장을 맡고 있는 박용성 그룹회장이 분식회계 개입 혐의 등으로 사법처리될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재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두산그룹은 “아직 수사중인 상황”이라며 사법처리에 애써 거리를 두고 있지만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7일 박용성 회장은 두산타워 사무실로 출근한 데 이어 10일 방한하는 자크 로게 국제올림픽위원장과 면담 일정을 잡는 등 건재를 과시하고 있다. 하지만 검찰 수사는 박 회장을 궁지로 몰고 있어 폭풍 전야의 긴장감이 돈다. 두산그룹 관계자는 “수사중인 내용을 ‘맞다, 아니다’ 거론하기 어렵다”며 “투서 내용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던 기존 태도에서 한발 물러서는 분위기다. 분식회계와 관련해 직접적인 연결고리가 밝혀지면 박 회장이 온전하기는 어렵다. 벌써부터 그럴 경우를 가정해 두산그룹의 비상경영 구도와 대한상의 회장 후임도 재계에서 입에 오르내린다. 박용오 전 회장, 박용만 부회장 등 3세대 대부분이 출국금지 선상에 오르고 검찰 수사 칼끝이 박씨 일가에 정조준 되면서 다함께 물러나는 게 불가피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은행권과 명동 사채시장 등도 검찰 수사의 진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명동 어음중개업체의 한 관계자는 “두산 쪽 회사채 거래는 힘들겠지만 5억원 미만의 소액 어음 할인은 이뤄진다”면서 “검찰 수사가 빨리 진전돼 박씨 일가가 경영에서 손을 떼면 회사는 오히려 투명해지고 좋아지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돌고 있다”고 말했다. 명동 사채시장에선 두산 관계사들의 어음할인율에 큰 변동이 없는 것과 관련해 총수 일가 소환 조사가 회사 정상화 임박 신호로 읽히고 있다는 해석을 내놓기도 한다 한편, 비자금 의혹 등을 검찰에 진정한 박용오 전 회장 쪽은 ‘올 것이 왔다’며 담담해 했다. 박 전 회장의 한 측근은 “검찰이 부르면 당연히 응할 것”이라며 “밝힐 것은 밝힐 것이고 떳떳하지 못한 게 있다면 나름대로 감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측근은 “분식회계 등을 직접적으로 지시한 게 아니라 뒤늦게 알고 그대로 둬선 안 되겠다고 결심한 거니까, 죄의 경중은 다르지 않겠냐”고 덧붙였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