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나이, 스타트업 투자전문가 출신이라는 독특한 경력 등으로 대표 내정 소식이 알려진 직후부터 화제가 됐던 임지훈(35) 카카오 신임 대표가 두 달여의 침묵을 깨고 지난 2일 모바일 글쓰기 플랫폼 ‘브런치’를 통해 ‘직접 소통’에 나섰다. 카카오의 투자회사였던 케이큐브벤처스 대표 시절에도 자신의 블로그(
www.jimmyrim.com)와 페이스북(
www.facebook.com/jimmyrim)을 통해 적극적으로 자신의 투자·경영 철학을 알려왔던 그가 카카오의 대표로서 현재 시범 서비스 중인 ‘브런치’를 새로운 채널로 선택한 셈이다.
임 대표는 ‘브런치’(brunch.co.kr/@jimmyrim)에 2일 올린 ‘새로운 출발’이란 제목의 글에서 “카카오 대표이사로 선임된 지 벌써 한 달이 넘어간다”며 “그동안은 외부 소통을 끊고 내부에서 미팅을 하면서 생각을 정리했고 이제 조심스럽게 외부 소통을 해볼까 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미(jimmy)라는 영문 이름이 새겨진 자신의 새 명함도 이곳에 공개했다.
그는 지난 한 달여 동안 ‘텔 미(Tell me)’라는 이름의 ‘카카오 구성원 100명 만나기 프로젝트’를 진행했다고 밝히며 그 중 직원들이 건넨 ‘심금을 울리는 한 차원 높은 내용들’ 세 가지를 소개했다. 그가 꼽은 ‘직원들의 건넨 말’에는 “회사 구성원들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보상은 돈과 복지가 아니라 역량의 증대, 성공의 경험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환경을 만들어달라”는 요구와 “업무에서, 가정에서 행복하신가요? 저는 엔지니어인데 다른 것 신경 안 쓰고 코딩만 잘하면 되나요?”와 같은 질문이 포함됐다.
또 “회사의 큰 방향성과 큰 정책도 중요하지만 회사 생활에서의 만족도 90% 이상은 내가 몸담고 있는 십수명의 작은 팀에서의 생활에서 나온다. 십수명 단위의 작은 팀들이 모두 잘 돌아갈 수 있게끔도 신경써달라”는 요청도 ‘심금을 울린 말’로 꼽았다.
그의 글은 아직 정식 서비스도 하기 전인 ‘브런치’ 플랫폼 안에서만 3일만에 3천회 가까이 공유됐고 ‘브런치’ 글을 공유해놓은 페이스북 페이지에서는 2천개 넘는 ‘좋아요’를 기록했다. 임 대표는 글을 올린 뒤에도 “댓글 잘 읽었습니다! 일일이 답 드리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라는 댓글을 달아 앞으로 지속적으로 ‘직접 소통’에 나설 뜻을 분명히 했다.
임지선 기자 s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