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제때 치료 못해 한해 3만6천명 죽는다

등록 2016-04-05 20:05수정 2016-04-05 21:06

‘피할 수 있는 사망률’ 첫 지역별 분석

시의적절한 보건의료서비스 못받아
21년간 조기 사망한 사람 75만명
뇌경색 등 뇌혈관 질환 34만명 최다
저소득 지역이 고소득보다 1.22배↑
1993년 이래 2013년까지 21년간 제 때에 알맞은 치료만 받았다면 피할 수 있었던 사망자가 75만명에 이른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 해에 3만6천명 가까이에 이르는 이들이 시의적절하고 효과적인 보건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해 조기에 사망했다는 얘기다. 피할 수 있는 사망자 수는 전체적으로 줄어드는 추세지만, 소득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간의 격차는 최근 10년 사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지난해말 발간된 부산대 의대 최민혁ㆍ윤태호 교수의 논문 ‘지역간 피할 수 있는 사망률 추세(1993~2013)’(<비판사회정책> 제49호)를 보면, 1993~2013년까지 지난 21년 동안 우리나라 총 사망자 수는 513만2472명이며, 이 가운데 ‘치료를 통해 피할 수 있었던 사망자’는 전체의 14.7%에 해당하는 75만375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를 통해 피할 수 있는 사망’은 보건통계 지표 중 하나로 ‘시의적절하고 효과적인 보건의료서비스가 제공되었다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조기사망’을 뜻한다.

성별로는 남자가 43만4282명이었고, 여자는 31만9469명이었다. 사망원인별로는 뇌경색 등 뇌혈관 질환자가 34만3817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장 및 직장암 환자가 7만1694명이었다. 이어 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장질환자가 5만9986명에 달했으며, 결핵 환자도 무려 4만3061명로 집계됐다.

피할 수 있는 사망률은 건강보험 제도의 발전 등으로 인해 총사망률이 감소해온 추세에 병행해, 전체적으로는 지난 21년간 감소 추세를 보여왔다. 1993~1995년 기간 연령표준화 총사망률(노인인구가 사망률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통제한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706명이었다. 이 비율은 2011~2013년에 388.4명으로 줄었다. 이런 총사망률의 감소 추세는 피할 수 있는 사망률에도 반영돼 1993~1995년에 이 비율은 132명이었으나 2011~2013년에는 47.9명으로 줄었다. 전체 사망률 가운데 피할 수 있는 사망률의 비중은 1993~1995년 기간 18.7%에서, 2011~2013년 기간 12.3%로 감소했다.

하지만 연구팀이 전체 214개 시군구 지역을 자가주택 소유 여부 등 사회경제적 지표를 이용해 소득분위별 5개 지역으로 나눠 비교해본 결과, 저소득 지역의 피할 수 있는 사망률이 고소득 지역보다 더 높았고, 이 차이가 최근 들어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지역의 격차는 1993~1995년 1.34배에서 2002~2004년 1.12배 가까이 떨어졌다가, 2005~2007년 1.13배, 2011~2013년 1.22배로 다시 커졌다.

최 교수는 “의료의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경상남도와 전라남도 경계지역에 위치한 시군구들에서 피할 수 있는 사망률에 큰 개선이 있었고,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피할 수 있는 사망률은 지난 21년 동안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전체적으로 좋아지고 있다”며 “하지만 전라남도 서남지역,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경계지역, 경상북도 내륙지역, 경상북도와 강원도 경계지역 등에서는 피할 수 있는 사망률이 계속 높게 유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 교수는 “지역 간 건강 격차를 줄이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정책적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창곤 기자 goni@hani.co.kr

피할 수 있는 사망

‘피할 수 있는 사망’이란 개념은 1970년대 서구 학계에서 제시됐다. 이 개념은 크게 적절한 의료서비스의 제공, 즉 ‘치료를 통해 피할 수 있는 사망’과 ‘포괄적 공중보건정책을 통해 피할 수 있는 사망’으로 구분된다. 학술적으로 대부분의 질병의 경우에는 74살 이전까지 사망했다면 피할 수 있는 사망으로 본다. 하지만 특정 질환에는 이 기준이 달라지는데, 즉 자궁암이나 백혈병 등은 44살 이전에 사망할 경우에만 피할 수 있는 사망으로 분류되고, 백일해, 홍역, 폐렴과 인플루엔자를 제외한 호흡기 질환, 위장염 등 장관 감염질환의 경우에는 14살 이전에 사망할 경우에만 피할 수 있는 사망으로 분류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속상해서, 정작 죄 있는 사람은 뻣뻣한데”…비 내리는 광화문 메운 시민들 1.

“속상해서, 정작 죄 있는 사람은 뻣뻣한데”…비 내리는 광화문 메운 시민들

130쪽 이재명 판결문…법원, ‘백현동 발언’ 당선 목적· 고의성 인정 2.

130쪽 이재명 판결문…법원, ‘백현동 발언’ 당선 목적· 고의성 인정

‘10도 뚝’ 찬바람 부는 일요일…다음주 서울은 영하 추위 3.

‘10도 뚝’ 찬바람 부는 일요일…다음주 서울은 영하 추위

[영상] 윤 ‘부적절 골프 의혹’ 골프장 직원 신상, 경찰 ‘영장 없이 사찰’ 논란 4.

[영상] 윤 ‘부적절 골프 의혹’ 골프장 직원 신상, 경찰 ‘영장 없이 사찰’ 논란

[영상] 명태균, 영장심사 때 “경거망동하여 죄송” 고개 숙였지만… 5.

[영상] 명태균, 영장심사 때 “경거망동하여 죄송” 고개 숙였지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