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3곳중 1곳 미등록 시설
캠핑족들 안전 문의 많아져
캠핑족들 안전 문의 많아져
“최근 야영하시는 분들이 가려는 캠핑장이 등록된 곳인지 많이 물어와요.”
지난 3일 오후 4시부터 밤 9시까지 경찰과 함께 경기도 가평군 일대 미등록 야영장 단속에 나섰던 가평군 관광과 박상헌 주무관은 “본격적인 캠핑철인 여름을 맞아 야영객들이 늘어나면서 캠핑장 안전에 더 민감해진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 한달 경기도내 야영장(캠핑장)을 찾은 사람은 모두 12만1393명이다. 본격적인 야외 활동의 계절이 다가왔지만, 전국의 캠핑장 3곳 가운데 1곳은 여전히 미등록 시설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야영객들이 많아지는 주말이면 안전 사각지대에 방치된 미등록 캠핑장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으나, 이용객들의 불안은 가시지 않고 있다.
9일 경기·강원도 등의 말을 종합하면,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전국의 등록 야영장 수는 경기도 254곳, 강원도 271곳, 경북 131곳, 경남 113곳 등 모두 1126곳이고, 미등록 야영장은 경기도 217곳, 강원도 110여곳 등 모두 718곳으로 집계됐다. 전국의 캠핑장 3곳당 1곳이 제대로 된 안전관리 기준에 맞춰 관할 시군구에 등록하지 않은, 불법 야영시설인 셈이다.
야영장이 등록과 미등록으로 나뉜 것은 지난해 3월 인천시 강화도 캠핑장에서 불이 나 5명이 숨지고 2명이 부상을 입는 참사로 야영장의 허술한 안전관리 체계가 드러나면서다. 당시 전기패널 등을 사용한 이곳은 등록업소가 아니어서 소방서의 화재 대비 안전 점검 등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캠핑장을 안전 사각지대로 방치했다는 비판이 거세지자 정부는 관광진흥법과 시행령을 바꿔 야영장의 안전·위생기준을 마련하고 야영장을 등록시설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모든 등록 야영장은 야영장 시설별로 소화기와 천막 방염처리 등의 야영장 안전기준을 강화하고 지난달부터는 벌칙 규정을 시행하고 있지만 미등록 야영장은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지난 3일에 이어 10일 미등록 야영장 단속에 나서는 포천시 이수진 주무관은 “미등록 야영장 주인들에게 등록하고 영업하라고 계도하면 오는 손님을 어떻게 막느냐고 항변한다”고 말했다.
체계적 안전관리가 소홀한 미등록 야영장은 물론, 등록 야영장도 소방차 진입 여건 개선 등 사고를 대비해 소방도로를 확보해야 한다. 경기도 관광과 관계자는 “건축물 인허가 때는 도로 폭 최고 4m 이상 등으로 규정하는 반면, 야영장은 긴급차량 진입이 가능한 도로 확보 식으로 규정이 모호하게 돼 있다. 실제 사고에 대비해 도로폭 몇m 등 명확한 야영장 진출입로 확보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자체 단속에도 미등록 야영장은 왜 사라지지 않을까? 경기도 재난안전본부 쪽은 “미등록 야영장은 이미 농지법과 산지법, 국토계획법 위반 등으로 아예 등록이 곤란한 경우가 상당수”라고 밝혔다. 강원도 문화관광체육국 관계자는 “농지나 산지를 야영장으로 전용하는 등 인허가 과정에서 최소 수백만~수천만원의 비용이 드는데다, 필수 시설인 화장실과 하수도 시설 설치에도 수천만원의 비용이 들어 일부 업주들이 등록을 포기하고 영업에 나선 탓”이라고 말했다. 가평군 박상헌 주무관은 “이용객들이 사전에 최소한 해당 시설의 등록 여부를 꼼꼼히 확인하는 게 안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