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상규명위, 1945~53년 “희생자 1000명이상 30건”
한국전쟁 전후 발생한 민간인 학살이 800건에 이르고, 100만명이 학살당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조사보고서가 나왔다.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위원회’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1945년부터 53년까지 남한에서 발생한 민간인학살 사건을 조사한 보고서를 냈다고 31일 밝혔다.
보고서를 보면 한국전쟁 기간에 경산 코발트광산에서 3500명, 강화도에서 740명 등 전국 각지에서 이 기간에 23만명이 학살당했다. 피해자가 1000명 이상인 사건은 30건, 500명 이상인 사건은 40건, 100명 이상 500명 미만인 사건은 160건으로 파악됐다. 위원회는 확인되지 않은 학살과, 고의적이라고 보이지는 않지만 오폭 등에 따른 피해까지 합치면 100만명 이상의 민간인이 희생당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좌우 양쪽에 의한 학살을 망라한 것으로, 보도연맹원과 재소자 학살 170건, 미군에 의한 학살 150건, 인민군에 의한 학살 90건 등이다. 12월에 출범하는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는 이 보고서를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작업의 기초자료로 삼기로 했다. 성공회대 김동춘 교수는 “이번에 나온 보고서는 그동안 나온 민간인학살 조사자료보다 상당히 구체적이고 실증적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