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수 특검 “정윤회 문건유출 사건도 수사” 발언에
검찰 ‘당시 수사 문제 없었다’ 취지 입장 밝혀
비선의혹보다 문건유출에 초점 ‘하명수사’ 비판 받아
검찰 ‘당시 수사 문제 없었다’ 취지 입장 밝혀
비선의혹보다 문건유출에 초점 ‘하명수사’ 비판 받아
박영수 특별검사가 2일 ‘정윤회 문건유출 사건’ 관련 당시 서울중앙지검장이었던 김수남 검찰 총장 역시 수사대상이 될 수 있다는 발언을 한 것과 관련해 검찰이 곧바로 당시 수사는 문제가 없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다. 특검이 이전 검찰 수사도 주요 수사대상임을 밝히면서 특검과 검찰의 신경전이 벌써 시작되는 거 아니냐는 얘기가 나온다. 하지만 검찰은 “특검에 대한 반론 입장은 아니다”라며 일단 확대해석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검찰은 이날 정윤회 문건유출 사건 수사와 관련해 “당시 수사과정에서 ‘정윤회 국정개입’을 인정할 만한 아무런 자료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최순실의 국정개입 농단’을 수사할 만한 아무런 구체적인 단서가 없었다”고 밝혔다. 검찰은 2014년 정윤회 문건유출 사건 수사하면서 최씨의 국정농단을 알면서도 덮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김수남 총장은 당시 서울중앙지검장으로 이 사건 수사를 직접 지휘했고, 황교안 국무총리는 법무부장관으로 검찰 수사 내용을 보고받았다. 이 때문에 박영수 특별검사는 김 총장도 필요하면 수사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윤회 문건유출 사건은 2014년 11월 <세계일보>가 “정윤회씨가 국정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담은 문건을 공개하면서 촉발된 사건이다. 당시 문건에는 최순실씨의 남편이던 정씨가 ‘비선실세’ 역할을 하며 청와대 비서관 3인방 등과 함께 청와대, 정부 주요기관 인사와 국정에 개입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날 검찰은 “당시 문건내용의 사실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관련자 조사, 통화내역, 통화 장소 조회 등 확보 가능한 모든 증거를 수집, 분석했으나 정씨와 청와대 비서관들이 문건내용과 같은 모임을 했다고 볼 만한 아무런 자료가 없었고, 작성자인 박관천 경정도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는 등 문건 내용을 사실이라고 인정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또 “검찰은 해당 문건에는 정씨가 부인 최순실씨와 별거한 바 있다는 등의 사생활 관련 내용만 있을 뿐 최씨의 국정개입과 관련된 내용은 전혀 없었다”고 설명했다.
또 한일 전 서울경찰청 정보분실 경위가 언론 인터뷰에서 밝힌 ‘청와대 회유 의혹’은 검찰과는 무관한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한 전 경위는 최근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청와대 민정비서관실에서 미리 검찰 수사 정보를 파악하고, 연락을 해 진술을 유도했다고 말했다. 검찰은 “한일에 대한 회유의혹은 검찰과 무관한 일이며 한 전 경위는 재판에서도 ‘검찰의 자백은 민정비서관실의 회유와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분명히 진술했다”고 밝혔다.
다만 검찰은 당시 수사와 관련해 자료를 돌리는 등 적극적으로 해명하면서도 특검에 대한 반론 입장은 아니라며 특검과 대립각을 세우는 것으로 비춰지는 데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