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오는 21일 현판식을 열고 수사를 본격 개시한다. 관심을 모았던 특검의 첫 소환대상자도 이번 주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박 특검팀의 이규철 대변인은 18일 언론브리핑에서 “현판식을 21일 오전으로 예정하고 있다. 첫 소환대상자는 이번주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특검법에 따라 박영수 특검이 임명된 지난 1일부터 20일 동안 수사준비기간이 주어진다. 하지만 특검팀은 “수사 준비 기간과 상관없이 언제든지 수사 개시가 가능하다”며 21일 공식 수사 개시 전에도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 가능성을 시사했다.
특검이 가장 공을 들이는 부분은 박근혜 대통령 뇌물 혐의 입증이다. 윤석열 팀장이 이끄는 수사4팀은 박 대통령이 대기업의 현안을 들어주는 대가로 미르·케이(K)스포츠재단 자금 출연을 약속받은 게 아닌지 살펴보고 있다. 수사팀은 이 두 재단이 대통령 퇴임 이후를 대비한 게 아닌지도 주요하게 보고 있다. 박 대통령은 대가성이 없다고 부인하고 있지만, 검찰 수사에서 이미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상당수 확보돼 특검팀은 대가성 입증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특검팀의 주요 타깃은 미르재단 등에 자금을 출연한 53개 기업 가운데 대가 관계가 두드러진 삼성, 롯데, 에스케이(SK)다. 수사팀은 당시 기업들마다 이해관계가 달랐기 때문에 출연액수와 기업 현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수사 우선순위를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중에서도 재단에 가장 많은 금액을 출연한 삼성은 특검의 주 타깃이다. 미르재단 출연 과정과 최순실씨의 딸 정유라씨를 직접 지원하는 과정에서 이재용 부회장이 개입했는지 여부를 밝히는 게 핵심이다. 특검팀은 동시다발 수사도 예고했다. 이규철 대변인은 “특검이 수사해야 할 대상이 상당히 많아 동시에 여러군데서 이뤄질 수 있다”고 밝혔다.
김기춘 전 비서실장과 우병우 전 민정수석 관련 수사도 특검의 주요 과제다. 이용복 특검보가 이끄는 수사2팀은 최씨의 국정농단을 방조 또는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이들과 관련된 의혹을 두루 살펴보고 있다. 세월호 사건 및 정윤회 문건유출 사건에서 검찰에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역시 수사 대상이다. ‘세월호 7시간 의혹’과 관련해 김영재씨 등 ‘비선 진료’ 의혹도 주요 수사대상이다.
현실적으로 70일간의 1차 수사 기간은 빠듯하기 때문에 특검팀은 수사 기간 30일 연장을 요청할 가능성이 크다. 특검법에는 수사 기간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특검이 대통령에게 사유를 보고하고 승인을 받아 수사 기간을 한차례 걸쳐 30일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조항이 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