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2016년 12월 고용행정통계 발표
전년대비 400명 감소…2009년 10월 이후 처음
저성장, 수출부진, 조선업 구조조정이 원인
“경제여건 고려할 때 감소 추세 지속할 우려”
전년대비 400명 감소…2009년 10월 이후 처음
저성장, 수출부진, 조선업 구조조정이 원인
“경제여건 고려할 때 감소 추세 지속할 우려”
지난해 12월 말 고용보험에 가입된 제조업 피보험자 수가 금융위기 이후 7년 2개월 만에 처음으로 준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피보험자 수의 감소는 제조업 취업사정의 악화를 여실히 보여주는 것으로 올해 고용시장 전반의 한파로 이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10일 ‘고용행정 통계로 본 12월 노동시장 동향’을 발표했다. 고용보험 피보험자 현황을 보면 지난해 12월 고용보험에 가입된 상시근로자 수는 1263만7천명으로, 전년 같은 달 대비 29만1천명(2.4%)이 증가했다. 하지만 전체 피보험자 규모는 계절적 영향 등으로 전달(1268만6천명)에 견줘 낮아졌을 뿐만 아니라 증가 폭도 전년도 같은 달 44만3천명에 비해 크게 낮은 수치다.
특히 피보험자 규모가 가장 큰 업종인 제조업(351만8천명)은 지난해 7월 16만4천명 이어 8월 9만4천명, 9월 7만5천명으로 다달이 증가 인원이 줄더니 급기야 12월에는 증가 인원이 아닌 감소 인원 400명을 기록했다. 이처럼 제조업 부문의 피보험자 수가 감소한 것은 금융위기 때인 지난 2009년 10월 8천명이 감소한 이래 7년 2개월 만에 처음이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장기간에 걸친 수출부진, 저성장, 수출부진, 생산자동화, 조선업 구조조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때문으로 보이며, 경제여건을 고려할 때 감소추세가 지속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제조업 중에서 고용악화를 이끈 것은 역시 구조조정 바람이 거센 조선업이었다. 특히 선박, 철도, 항공장비 등을 제조하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선박수주량 감소 등 경기악화로 지난해 12월에는 3만1천명이 감소했다. 지난해 6월 1만2천명이던 취업자 감소 폭이 8월 2만2천명, 10월 2만5천명에 이어 연말에는 3만명대까지 커진 것이다.
제조업 안에서 피보험자 규모가 가장 큰 ‘전자부품, 컴퓨터, 통신장비 제조업’도 2014년 1월 이래 36개월 연속 줄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업 6만1천명, 숙박음식업 4만7천명, 전문과학기술업 3만5천명 등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추세는 둔화하고 있다.
반면, 식료품 제조업의 취업자 수는 1만2천명 늘어 25만8천명에 달했다. 1인 가구 증가로 간편식 매출이 늘어난 데다, 한류 영향으로 수출도 호조를 보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국으로 수출이 크게 는 화장품이 포함된 화학제품제조업의 피보험자 수도 9천명 늘었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중소기업 피보험자가 24만1천명(2.7%) 증가했지만 300인 이상 대기업은 5만명(1.5%) 늘어나는 데 그쳤다. 특히 제조업은 중소기업 취업자가 5700명 늘었으나, 대기업은 6100명 줄었다.
연령별로 보면, 50대 피보험자 수가 가장 많이 증가했다. 13만명(5.7%)이 늘었다. 60살 이상도 9만8천명(9.3%)으로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하지만 30대 피보험자는 3만8천명(1.1%) 감소했는데, 이는 30대 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보인다고 고용부는 풀이했다. 고용보험 피보험자는 고용보험 가입자로서 계약직을 포함한 상용직 노동자를 가리킨다. 따라서 그 수의 감소는 대체로 취업자 수의 감소를 반영한다. 다만 이 수치는 자영업자나 미가입자, 구직급여를 받지 않는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 등은 포함하지 않아 피보험자 수의 증감이 곧 전체 취업자의 증감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이창곤 선임기자 go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