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물 혐의에 삼성 433억 외 롯데·SK 등 추가 가능성
우병우 수사도 속도…세월호·문체부 표적감찰 의혹
우병우 수사도 속도…세월호·문체부 표적감찰 의혹
박근혜 전 대통령을 31일 구속한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가 박 전 대통령 쪽에 뇌물을 준 의혹을 받는 롯데와 에스케이(SK)에 대한 추가 수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검찰의 수사 결과에 따라 박 전 대통령의 뇌물 혐의는 ‘삼성 433억원’에서 훨씬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검찰은 대통령 선거 운동이 본격화하는 4월17일 이전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를 마무리 짓고 기소할 방침이다.
검찰은 박 전 대통령이 삼성 뿐만 아니라 롯데·에스케이와도 청탁과 대가를 주고받는 등 뇌물수수 혐의가 짙다고 보고 수사하고 있다. 롯데와 에스케이는 2015~2016년 면세점 특허 재획득, 총수 사면 등의 현안이 해결됐고, 이후 최순실씨 쪽과 따로 접촉해 케이(K)스포츠 재단에 수십억원의 돈을 내기로 하거나 냈다는 공통점이 있다.
2015년 11월 월드타워 면세점 특허를 잃은 롯데는 지난해 3월 신동빈 회장이 박 전 대통령 독대 과정에서 면세점 특허를 청탁하고 최순실씨 쪽에 돈을 건넨 의혹을 받고 있다. 롯데는 지난해 5월 케이(K)스포츠 재단에 70억원을 냈다가 검찰의 압수수색이 시작되기 직전인 6월초 돌려받았다. 에스케이는 박 전 대통령 쪽에 면세점 특허 재획득과 그룹 총수인 최태원 회장의 사면을 청탁하고 뇌물을 건넨 의혹을 사고 있다. 에스케이는 케이스포츠 재단에 80억원을 내라는 요구를 받고 협상을 통해 30억원으로 조정했으나 실제 돈을 건네지는 않았다.
앞서 검찰은 박 전 대통령 소환을 앞두고 최태원 회장과 장선욱 롯데면세점 대표,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 전·현직 관세청 직원 등을 불러 조사했다. 두 기업에 대한 수사 결과에 따라 박 전 대통령의 범죄 혐의는 현재 13개에서 14~15개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국정농단 사태’의 마지막 축인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에 대한 수사도 계속되고 있다. 검찰은 최근 우 전 수석의 세월호 수사 방해 의혹과 관련해 당시 검찰 관계자의 진술서를 받았다. 우 전 수석은 2014년 6월5일 세월호 사건 수사를 위해 해경 본청을 압수수색하던 광주지검 수사팀에 전화해 압수수색 중단을 요구하는 등 압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또 우 전 수석이 지인의 청탁을 받고 민정수석실 특별감찰반을 동원해 문화체육관광부의 특정 직원을 표적 감찰하도록 하고 부당징계를 했다는 의혹도 수사하고 있다. 우 전 수석이 저지른 불법 행위의 배후에 박 전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는지도 검찰 수사를 통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