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도둑 발이냐”…발이 커서 슬픈 여성들

등록 2017-06-11 16:34수정 2017-06-14 16:25

신발 구하기 어려운 ‘큰발이’ 여성들
한국 여성 10%가 250㎜ 넘는데도
기성화 최대 크기는 여전히 250㎜
남성 신발 신거나, 맞춤 구두 신어
박소영(27)씨는 고등학생 때 키가 170㎝로 훌쩍 자랐다. 그 뒤 10여년째 발에 맞는 편한 신발을 찾느라 ‘악전고투’하고 있다. 백화점이나 신발 가게를 돌아다녀 봐도 시중에서 판매하는 신발 사이즈는 225~250㎜뿐, 할 수 없이 15만원 가량을 들여 맞춤 구두를 제작해야했다. 제작이 힘들 땐 ‘빅 사이즈’가 많다는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을 찾아가 큰 여성용 신발을 골라야했다. 하지만 맘에 드는 디자인을 찾기가 쉽지 않았다. ‘이태원 신발’은 발볼이 넓거나 한국인 체형에 맞지 않아 허탕친 적도 여러번이다.

박씨가 더 서러웠던 건 큰 발 여성에게 쏟아지는 편견이었다. 박씨는 “큰 신발을 신고 다니면 ‘도둑 발이냐’, ‘남자 신발이냐’라는 놀림을 많이 받았다. 기분이 좋지는 않았지만 싸움이 될 것 같아 웃고 넘어갔다”며 “체형이 서구화돼 키 큰 여성들이 많아졌는데 기성화도 사이즈가 커져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여성들 평균 키가 부쩍 커지면서 여성의 발은 ‘최대 250㎜’라는 통념이 깨지고 있다. 하지만 기성화 최대 사이즈는 여전히 ‘250㎜’에 묶여 있어 현실과 통념 사이에서 ‘큰발이’ 여성들이 겪는 불편이 커지고 있다.

중학교 2학년생 딸을 둔 김미숙(50)씨도 딸의 발 사이즈인 255㎜ 신발을 구하느라 어려움이 많다. 과거와 달리 초등학생, 중학생들의 키가 점점 커지고 성장 속도가 빠르다. 구두 제작업체 쪽 관계자는 “250㎜ 사이즈 이상은 수요가 많지 않아서 주문이 들어오면 제작을 한다. 제작해놨을 때 팔리지 않을 수도 있다. 위험 부담이 커서 제작을 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통계는 상당수 한국 여성들 발 크기가 250㎜를 넘어섰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1979년부터 5~7년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실시하는 인체 지수조사 자료를 보면, 지난해 전국 16~30살 한국 여성 1664명 중 10% 수준인 169여명의 발길이가 250㎜를 넘었다.

최근에는 ‘빅 사이즈’ 여성화 판매업체도 하나 둘 등장하고 있다. 260㎜를 신는 박영선(30)씨는 직접 온라인 쇼핑몰을 열었다. 박씨가 운영하는 ‘꼬시팝’ 누리집엔 지난달 하루 평균 1000여명이 다녀갔다고 한다. 박씨는 “빅 사이즈를 구매하는 여성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걸 실감한다”면서 “최근 큰 사이즈를 찾는 초등학생도 많이 늘었다. 부모들이 신발을 사면서 딸 신발을 같이 산다”고 귀띔했다.

일부 ‘큰발이’ 여성들은 남성 신발을 신기도 한다. 발 크기가 255~260㎜인 송아무개(33)씨는 디자인을 포기하고 남성용 신발을 산다. 디자인이 예쁜 여성용 큰 신발은 주로 온라인에서만 살 수 있는데, 미리 신어보기 어렵고 반품도 귀찮기 때문이다. 송씨는 “가끔 외국에 갈 때마다 큰 신발을 열 켤레씩 사온다”며 “다양한 사이즈가 있어 선택의 폭이 넓어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수진 기자 jjinp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