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주께 원세훈 전 국정원장 불러
이명박 전 대통령 개입 여부 조사
2차장 국익전략실로 수사 확대
‘블랙리스트’ 기획 김주성도 출금
이명박 전 대통령 개입 여부 조사
2차장 국익전략실로 수사 확대
‘블랙리스트’ 기획 김주성도 출금
검찰이 21일 이종명 전 국가정보원 3차장을 불러 강도 높은 조사를 하는 등 국정원 ‘민간인 여론조작팀’ 사건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김주성 전 국정원 기조실장도 출국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향후 이명박 정부 시기 국정원 3차장 산하 심리전단이 정치·선거 개입에 나설 수 있도록 각종 국내정보를 수집·분석해 불법 선거·정치개입 전략을 짠 2차장(2010년 9월 박성도→민병환) 산하 국익전략실 등으로 수사를 확대해갈 방침이다. 또 검찰은 이르면 다음주 수감 중인 원세훈 전 국정원장을 불러 이명박 전 대통령 등 ‘청와대 윗선’의 개입 여부도 규명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중앙지검은 이날 오후 이 전 차장을 피의자로 소환해 민간인을 동원한 여론조작팀 규모와 내부 결재 과정 등을 캐물었다. 이 전 차장은 2011년 4월부터 2년간 국고손실 등 혐의로 구속된 민병주 전 국정원 심리전단장의 직속상관이었다.
지난달 21일 국정원이 ‘민간인 동원 온·오프 여론조작’ 관련 수사를 의뢰한 뒤, 검찰은 1차 수사 의뢰된 민간인 팀장 30명에 대한 신원 특정 작업을 최근 끝냈다. 또 2차 수사 의뢰자 18명(1명 중복)에 대한 분석도 마무리 단계에 와 있다. 국정원에서 받은 영수증과 계좌추적 내역, 민간인 팀장 조사 내용 등을 바탕으로 이들 민간인 팀장들이 어떤 형태로 국정원 지시를 받고 어떻게 불법 선거·정치개입을 벌였는지 큰 틀의 내용 복원을 끝낸 셈이다.
심리전단 활동의 전략을 짠 2차장 산하 조직에 대한 수사는 ‘박원순 제압 문건’과 ‘연예인 블랙리스트’ 등과도 관련이 있다. 해당 문건을 작성한 곳이 바로 2차장 산하 ‘국익전략실’이기 때문이다. 라디오 진행자 김미화씨 교체 및 여성부에 문제점 지적, 연예인 김씨(C) 공익광고 배제 요구 등은 국정원 ‘비(B)실’의 지시로 돼 있다. 박원순 시장의 반값등록금 문건을 작성한 곳도 ‘B실 사회팀’으로 조사됐다. B실은 국정원 내 ‘브레인’ 구실을 하는 곳으로 알려진 2차장 산하 국익전략실(7국)을 의미한다. 검찰은 국익정보국(8국)이 수집한 정치, 선거 등 국내정보를 바탕으로 국익전략실이 관련 보고서를 작성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검찰은 2009년 7월 ‘좌파 연예인 대응 티에프’를 만들어 팀장으로 활동한 김주성 당시 기조실장에 대해 출국금지 조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김 전 실장이 2010년 9월 국정원을 퇴직해 공소시효(7년) 문제가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