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서울 용산의 미군기지 캠프 킴 담벼락 아래에서 서울시 공무원이 시커먼 기름이 둥둥 뜬 지하수를 퍼올리고 있다. 2006년 이 지역에서 기름 유출이 발견된 뒤 서울시가 10년째 지하수를 정화해왔지만 여전히 오염물질인 석유계총탄화수소가 기준치의 500배 이상 검출된다. 사진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반환 미군기지에 대한 환경조사 10번 중 6번 꼴로 오염원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정무위원회)이 국무조정실 주한미군기지 이전지원단을 통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주한미군 공여구역 환경기초조사 실시내역’ 자료를 보면, 2008년부터 2017년 현재까지 반환 미군기지에서 총 110회 환경조사가 있었고, 이 가운데 66회 조사에서 토양과 지하수 오염이 확인됐다.
가장 많은 오염원이 검출된 곳은 인천 부평의 캠프마켓 인근 주변으로, 땅에서 TPH와 크실렌, 구리, 납, 아연, 니켈이 검출됐고, 지하수에서 TPH와 납이 검출됐다. 경기 파주의 캠프 하우즈 주변 땅에서도 TPH와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이 검출됐고 지하수에서 TPH가 검출됐다.
재조사에서 새 오염원이 검출된 곳도 있다. 캠프카일(의정부), 캠프캐슬(동두천), 캠프케이시(동두천), 캠프호비(동두천) 등은 이전 조사 때 발견되지 않은 오염원이 새롭게 발견됐다. 환경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의혹이 나온다.
현재까지 미군기지 정화 조치를 위해 2100억여원이 투입됐고 추가 반환되는 미군기지를 모두 치유할 경우 약 1조원이 들 것으로 추산된다.
박찬대 의원은 “한미동맹이 훼손되지 않는 선에서 반환기지 환경치유 분담금 이야기를 해야 할 때”라며 “정부 부처별로 다른 주장들을 정리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미국 쪽에 구상권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