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 민간싱크탱크 토지+자유연구소 이태경 토지정의센터장
“인생은 한번이고 결국은 짧은 건데…. ‘더 가치있다’고 확신하는 일에 자신을 온전히 던지는 삶도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이태경(46·사진) 토지+자유연구소 토지정의센터장은 자신의 ‘변신’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이 센터장은 몇 달 전까지만 해도 종합일간지의 법무팀장이었다. 하지만 ‘더 가치있는 일’을 위해 다니던 언론사에 과감히 사표를 던졌다. 그리고 지난 9월초부터 엔지오 싱크탱크인 토지+자유연구소의 전임 활동가로 변신한 것이다.
토지+자유연구소는 ‘토지는 사회 전체의 것’이라는 미국 정치경제학자 헨리 조지(1839~1897)의 사상에 기초해 토지 소유자들의 각종 소득을 세금으로 환수하는 정책을 추구하는 대표적 민간싱크탱크다.
이 센터장은 2000년 언론사에 입사해 법무팀장으로서 기사 작성과 관련한 각종 법률 문제를 지원하고 회사와 관련된 소송을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했다. 그는 “언론사 법무팀장 역시 중요하고 가치 있는 일이었지만 우리 사회에서 토지정의를 세우는 것이 더 시급하게 느껴졌다”고 변신의 배경을 덧붙였다.
그 변신의 결과 “임금은 절반 정도로 줄었고, 그나마 정기적으로 나올지도 걱정”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언론 기고와 외부 강연, 담론 개발 등으로 바삐 활동하면서도 “인생은 짧은데…”를 항상 떠올린다고 한다. ‘늦깎이 엔지오 전임 활동가’인 이 센터장을 지난 26일 서울 서대문구 창천동 토지+자유연구소에서 만났다.
17년 근무 언론사 법무팀장에서
늦깎이 엔지오 상근활동가 ‘변신’
“급여 절반 줄었지만 ‘가치’ 선택” 2005년 ‘토지정의시민연대’ 참여
10년 넘게 ‘주경야독’ 비상근 활동
“새정부 ‘부동산 적폐 청산’ 견인” 사실 그에게 ‘토지정의 관련 엔지오 활동’은 처음은 아니다. 토지+자유연구소의 모체인 ‘토지정의시민연대’가 창립한 2005년 2월부터 회원으로 참여했다. 2007년 11월5일 토지+자유연구소가 창립되고 시민연대 상근 인력들이 연구소로 옮기자 활동이 어려워진 시민연대의 사무처장 일까지 맡았다. “정말 어려운 시기였어요. 낮에는 법무팀장으로 근무하고, 퇴근 뒤나 주말·휴일에 시민연대 일을 했어요. 평일 낮시간에 일이 생기면 휴가를 냈고요.” 이 센터장은 ‘주경야독’처럼 열심히 했지만, 역시 한계가 많았다고 했다. “더 이상 비상근으로 해결할 수 없는 시기가 찾아왔어요. 토지 문제를 포함해 부동산 문제의 심각성이 한계를 넘어서고 있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이명박과 박근혜 정권 9년 동안 토지정의가 심각하게 훼손됐다”고 그는 판단했다. “사실상 정부에서 빚을 내서 집을 사라고 강권해왔고, 그 후유증으로 올 들어 다시 부동산 폭등 조짐이 보이자 위기감이 커졌어요.” ‘적폐청산’을 내건 문재인 정부가 ‘부동산 적폐’도 청산해나가지 않을까? “안심할 수 없어요. 여전히 정부 관료들의 힘이 강하고, 부동산은 관련 연관산업도 커서 개혁정부라고 해도 부동산 정책을 올바로 끌고가는 게 쉽지 않아요. 하지만 시민사회가 토지정책 담론을 적극 개발하고 시민들에게 널리 알려나간다면 개혁정부를 견인할 수도 있겠다 싶었어요.” 그가 늦깎이로 시민활동가가 된 배경에는 “토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국 사회에 미래가 없다”는 신념도 강하게 작용했다. “한국이 이나마 민주개혁과 경제발전을 함께 이룬 데에는 1950년 농지개혁 등으로 지주계급이 소멸된 것이 큰 디딤돌이 됐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지금은 1%의 부유층이 전체 토지의 절반 이상을 소유해 불균형이 다시 심각해졌습니다. 이런 ‘신분제 사회’가 되면 나라 전체의 성장동력을 쉽게 잃게 됩니다.” 현재 토지+자유연구소에는 남기업 소장을 비롯해 조성찬 통일북한센터장, 전은호 시민자산화지원센터장 등 모두 4명이 상근을 하고 있다. 이 센터장은 이 가운데 현안 대응을 주로 맡고 있다. 8·2 대책 등 정부의 부동산대책을 평가하고 언론 기고나 방송 토론 출연 등을 통해 의견을 알리는 것이다. 더불어 그는 지난 13일 출범한 ‘헨리조지포럼’의 간사를 맡는 등 담론 개발에도 열심이다. 헨리조지포럼은 김윤상 경북대 석좌교수, 이정우 경북대 교수, 강남훈 한신대 교수, 전강수 대구가톨릭대 교수 등 토지정의를 고민하는 학자들의 모임이다. 이 센터장은 “한국 사회에서 토지 문제를 바꾸려면 토지정의 관련 담론 생산이 중요하다”며 “현재는 토지와 부동산 문제 전문가들이 포럼에 주로 참여하고 있지만 앞으로 다른 부문 연구자들까지도 아우르는 등 본궤도에 올리는 것이 큰 목표”라고 말한다. 그는 “내면에서는 여전히 좀더 편하고 안정적이고 싶다는 아우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고 솔직하게 ‘고백’한다. 하지만 “뒤늦게 전임 엔지오 활동가가 된 만큼 더 열심히 노력해 우리 사회 토지정의 문제 해결에 조금이나마 기여했으면 한다”며 다시 힘을 모은다. 중년의 터널에 들어선 이 센터장의 꿈은 이렇게 여전히 ‘푸른 청년’의 그것이었다. 글·사진 김보근 선임기자tree21@hani.co.kr
이태경 토지+자유연구소 토지정의센터장.
늦깎이 엔지오 상근활동가 ‘변신’
“급여 절반 줄었지만 ‘가치’ 선택” 2005년 ‘토지정의시민연대’ 참여
10년 넘게 ‘주경야독’ 비상근 활동
“새정부 ‘부동산 적폐 청산’ 견인” 사실 그에게 ‘토지정의 관련 엔지오 활동’은 처음은 아니다. 토지+자유연구소의 모체인 ‘토지정의시민연대’가 창립한 2005년 2월부터 회원으로 참여했다. 2007년 11월5일 토지+자유연구소가 창립되고 시민연대 상근 인력들이 연구소로 옮기자 활동이 어려워진 시민연대의 사무처장 일까지 맡았다. “정말 어려운 시기였어요. 낮에는 법무팀장으로 근무하고, 퇴근 뒤나 주말·휴일에 시민연대 일을 했어요. 평일 낮시간에 일이 생기면 휴가를 냈고요.” 이 센터장은 ‘주경야독’처럼 열심히 했지만, 역시 한계가 많았다고 했다. “더 이상 비상근으로 해결할 수 없는 시기가 찾아왔어요. 토지 문제를 포함해 부동산 문제의 심각성이 한계를 넘어서고 있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이명박과 박근혜 정권 9년 동안 토지정의가 심각하게 훼손됐다”고 그는 판단했다. “사실상 정부에서 빚을 내서 집을 사라고 강권해왔고, 그 후유증으로 올 들어 다시 부동산 폭등 조짐이 보이자 위기감이 커졌어요.” ‘적폐청산’을 내건 문재인 정부가 ‘부동산 적폐’도 청산해나가지 않을까? “안심할 수 없어요. 여전히 정부 관료들의 힘이 강하고, 부동산은 관련 연관산업도 커서 개혁정부라고 해도 부동산 정책을 올바로 끌고가는 게 쉽지 않아요. 하지만 시민사회가 토지정책 담론을 적극 개발하고 시민들에게 널리 알려나간다면 개혁정부를 견인할 수도 있겠다 싶었어요.” 그가 늦깎이로 시민활동가가 된 배경에는 “토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국 사회에 미래가 없다”는 신념도 강하게 작용했다. “한국이 이나마 민주개혁과 경제발전을 함께 이룬 데에는 1950년 농지개혁 등으로 지주계급이 소멸된 것이 큰 디딤돌이 됐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지금은 1%의 부유층이 전체 토지의 절반 이상을 소유해 불균형이 다시 심각해졌습니다. 이런 ‘신분제 사회’가 되면 나라 전체의 성장동력을 쉽게 잃게 됩니다.” 현재 토지+자유연구소에는 남기업 소장을 비롯해 조성찬 통일북한센터장, 전은호 시민자산화지원센터장 등 모두 4명이 상근을 하고 있다. 이 센터장은 이 가운데 현안 대응을 주로 맡고 있다. 8·2 대책 등 정부의 부동산대책을 평가하고 언론 기고나 방송 토론 출연 등을 통해 의견을 알리는 것이다. 더불어 그는 지난 13일 출범한 ‘헨리조지포럼’의 간사를 맡는 등 담론 개발에도 열심이다. 헨리조지포럼은 김윤상 경북대 석좌교수, 이정우 경북대 교수, 강남훈 한신대 교수, 전강수 대구가톨릭대 교수 등 토지정의를 고민하는 학자들의 모임이다. 이 센터장은 “한국 사회에서 토지 문제를 바꾸려면 토지정의 관련 담론 생산이 중요하다”며 “현재는 토지와 부동산 문제 전문가들이 포럼에 주로 참여하고 있지만 앞으로 다른 부문 연구자들까지도 아우르는 등 본궤도에 올리는 것이 큰 목표”라고 말한다. 그는 “내면에서는 여전히 좀더 편하고 안정적이고 싶다는 아우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고 솔직하게 ‘고백’한다. 하지만 “뒤늦게 전임 엔지오 활동가가 된 만큼 더 열심히 노력해 우리 사회 토지정의 문제 해결에 조금이나마 기여했으면 한다”며 다시 힘을 모은다. 중년의 터널에 들어선 이 센터장의 꿈은 이렇게 여전히 ‘푸른 청년’의 그것이었다. 글·사진 김보근 선임기자tree21@hani.co.kr
연재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