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이 23일 정부세종청사 해수부 브리핑룸에서 논란이 된 세월호 현장 유골 은폐와 관련해 사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이 세월호 선체에서 유골을 발견하고도 실무자가 공개하지 않은 사실을 지난 20일 보고받았지만 관련자 문책이나 진상 조사에 나서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김 장관은 또 미수습자 가족에게 즉각 알리라는 자신의 지시가 이행되지 않은 것조차 이틀간 파악하지 못했다. 세월호 현장수습본부는 지난 17일 뼛조각을 발견하고도 절차를 어긴 채, 유골 발견 사실을 미수습자 가족과 선체조사위 등에 즉시 공개하지 않아 은폐 의혹을 받아왔다.
김 장관은 2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세월호 유골 발견 은폐 의혹에 대한 1차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20일 저녁 5시쯤 작은 뼛조각이 발견이 됐고 그 뼈는 조은화양이나 허다윤양의 것이 거의 확실하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보고를 받고 “즉시 통보할 것을 지시”했지만 현장수습본부는 하루가 지난 21일 오후 3시께에야 김창준 선체조사위원장 등에게 상황을 알렸다. 미수습자 5명의 가족에게는 이날 저녁 해수부가 아닌 선체조사위 조사관들이 수습 사실을 알렸다. 김 장관은 지시 뒤에도 미수습자 가족에 대한 통보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데 대해 “제 지시가 그대로 이행되고 있을 거라고만 생각했다”고 말했다.
1차 조사 결과를 보면, 김현태 세월호 현장수습본부 부본부장은 17일 오후 유골 수습 사실을 접하고 이를 이철조 본부장에게 보고했다. 이 본부장은 “‘유골이 이미 발견된 희생자의 것일 가능성이 높아 미수습자 가족들에게 바로 알릴 경우 가족의 고통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보고를 받았고 저도 수긍해 장례식과 삼우제 이후에 알리기로 했다”고 말했다. 해수부는 이날 이 본부장을 보직 해임했다.
김 장관은 “책임져야 할 일이 있으면 책임을 지겠다”며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일을 제대로 마무리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만든 뒤 임명권자와 국민의 뜻에 따라 진퇴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방준호 정은주 기자
whorun@hani.co.kr